-‘처남 몫’ 행정관 활용 등 인사·이권 개입 의혹
- 건진법사 압수수색에서 발견된 경찰 명함 논란에 불안감 팽배한 경찰 내부
![]() |
▲ 건진법사 전성배 씨 (사진=연합뉴스) |
검찰이 ‘건진법사’ 전성배씨와 그의 처남 등 전씨 일가의 출국을 금지했다.
28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남부지검 가상자산범죄합동수사부(박건욱 부장검사)는 최근 전씨와 그의 딸, 처남 김모 씨에 대해 출국금지 조치를 했다. 또 김씨 등의 휴대전화를 압수수색하고 참고인 조사도 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는 전씨가 대통령실 신모 행정관 등을 통해 윤석열 정권 인사나 정책 결정에 개입했다는 의혹을 규명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검찰은 전씨의 휴대전화에서 지난 2022년 7월 딸에게 신모 행정관을 ‘처남 몫’으로 지칭한 문자를 확보했다. 특히 전씨는 “신 행정관은 ‘찰리’(처남) 몫으로 들어갔다”, “언제든지 쓸 수 있다”는 말도 했다.
전씨는 이 문자에 대해 “찰리와 신 행정관이 같이 대선 때 일을 해 친하니까, 신 행정관에게 언제든지 부탁해도 된다는 뜻”이라고 진술한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당시 전씨의 딸이 대통령실 문화체육비서관실 등에 공문을 보냈다고 언급한 점에 비춰 신 행정관을 통해 특정 이권 사업에 개입하려 한 게 아닌지 들여다보고 있다.
![]() |
▲ 윤석열 대선 당시 건진법사와 함께 (출처=커뮤니티) |
전씨와 배우자, 처남 김씨는 검찰 수사가 진행 중이던 지난해 12월 말께 휴대전화나 통신사를 변경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김씨는 기존 기기를 숨기고 ‘휴대전화를 바다에 빠뜨렸다’며 새 기기를 제출한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이 전씨의 휴대전화 발신기지국 위치를 분석한 결과 그가 2023년 12월부터 1년간 경기 과천시 경마장과 강원 정선군 강원랜드 인근에서 200여회 통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건진법사 전씨 대선캠프에서 활동하며 윤석열과 함께 있는 영상으로 구설에 오른 바 있으며, '찰리'로 불리는 전씨의 처남 김모 씨는 대선캠프에서 네트워크본부 '현장지원팀' 소속으로 윤석열을 밀착 수행했으며, 전씨의 딸은 윤석열 SNS관리와 사진 촬영 등의 업무를 맡은 것으로 알려졌다.
![]() |
▲ 이호영 경찰청장 직무대행 (사진=연합뉴스) |
한편 ‘건진법사’ 전성배씨 논란에 경찰 내부가 술렁이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검찰이 전씨를 압수수색하는 과정에서 경찰 명함이 다수 발견됐고, 명함을 준 이들이 인사를 청탁했을 가능성이 제기됐기 때문이다.
이호영 경찰청장 직무대행은 28일 정례 기자간담회에서 ‘검찰이 전씨 자택을 압수수색하면서 발견한 경찰 명함에 대한 내부 확인이 이뤄지고 있느냐’는 질문에 “아직 (내부) 감찰은 하지 않고 있다”며 “어느 정도 수사 윤곽이 나오면 감찰이 이뤄지는데, 아직 사실 확인이 안 된 상태”라고 말했다.
![]() |
▲ 건진법사 전성배의 정관계 인맥 (출처=커뮤니티) |
검찰은 지난해 12월17일 전씨의 법당과 집 등을 압수수색한 결과 대기업 임원, 정치권 관계자, 법조인 등의 명함과 현금 1억6500만원을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직무대행은 “(경찰 인사청탁 의혹) 그런 보도가 나올 때마다 안타깝게 생각하고 있다”며 “(경찰 조직의) 승진 폭이 좁다 보니 과도한 승진 경쟁, 직원 불안심리 등에 편승한 부당한 인사 개입이 가끔 발생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인사권자와 외부인의 유착 고리를 끊어내기 위해 총경급이나 중간 관리자 순환인사 도입 등 승진이 주관적 요인보다 시스템이나 규정에 따라 이뤄질 수 있도록 계속 관련 규정을 개정 중”이라고 밝혔다.
이에 경찰 내부 불안감은 팽배하다는 전언이다. 조직 전체를 흔들 수도 있는 파장이기 때문이다.
[ⓒ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