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두환 국민학살 "보는 관점 다를 수 있다"...백골단 조직 "백골단이 무슨 문제?"
대통령실, 늘봄 사업에 '잘 챙겨달라' 연락…교육부 장관 "국민께 심려 끼쳐 죄송"
![]() |
▲ 손효숙 리박스쿨 대표가 국회 교육위원회에서 열린 리박스쿨 청문회에 증인으로 출석해 안경을 고쳐 쓰고 있다. 2025.7.10 (사진=연합뉴스) |
보수 성향 교육단체 '리박스쿨'의 손효숙 대표가 10일 국회 교육위원회 청문회에 출석해 8시간이 넘는 심문 끝에 공식 사과했다. 극우 교육 의혹에 대해서는 부인했지만, 논란성 발언을 이어갔으며, 대통령실의 늘봄학교 사업 연관성 및 관련 단체 소속 늘봄학교 강사 수백 명 출강 사실 등이 드러나 파장이 예상된다.
손효숙 대표는 이날 오전 10시에 시작된 청문회가 산회를 앞둔 오후 6시 30분경,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을 훼손하는 우려를 하도록 해 많은 학부모님과 선생님들, 관계자, 교육 모든 종사자분께 진심으로 사과드린다"고 밝혔다. 앞으로 관련 활동을 할 것인지에 대한 질문에는 "이제는 활동할 모든 기반도 다 잃어버렸고 의지도 잃어버렸다"며 사실상 활동 중단 의사를 내비쳤다.
![]() |
▲ 손효숙 리박스쿨 대표가 국회 교육위원회에서 열린 리박스쿨 청문회에 참석해 전두환씨 명예 회복 추진 문건과 관련한 더불어민주당 고민정 의원의 질의에 답하고 있다. 2025.7.10 (사진=연합뉴스) |
그러나 손 대표는 사과와 별개로 극우 교육을 시도했다는 의혹 자체는 부인했다. 특히 전두환 전 대통령에 대해 "수많은 국민을 학살했는지 그 부분에 대해서는 제가 판단하기가 어렵다", "애국 현장에서는 보는 관점이 다를 수 있다"고 발언하며 논란을 자초했다. 이에 대해 국민의힘 정성국 의원조차 "전두환 명예 회복 시켜줄 것 없다"며 질타했다.
손 대표는 또한 지난 5월 30일 이후 '마녀사냥'을 당하고 있으며 '심신미약자'가 됐다고 주장했다. 윤석열을 위한 '백골단'을 조직했다는 의혹에 대해서는 "자발적으로 모여 단체를 만들고 조직하는 일은 누구나 할 수 있다", "백골단이 무슨 문제가 있었나"라고 반문하기도 했다. 그는 자신을 '극우단체' 대표가 아닌 '자유우파진영의 단체' 대표로 불러달라고 요청하기도 했다.
이날 청문회에서는 리박스쿨 사태와 대통령실의 연관성도 일부 드러났다. 손 대표가 이사장으로 있는 '글로리사회적협동조합'이 올해 2월 늘봄학교 사업 공모에 지원했다 탈락하는 과정에서 대통령실이 교육부에 '잘 챙겨달라'는 취지의 연락을 한 사실이 교육부 관계자의 증언으로 확인됐다. 김천홍 교육부 책임교육정책관은 대통령실의 연락을 "압력으로 느꼈다"고 밝히면서도, 평가 결과가 좋지 않아 탈락시켰다고 설명했다.
![]() |
▲ 왼쪽부터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이수정 전 교육부 장관 정책자문관, 장신호 서울교대 총장. 손효숙 리박스쿨 대표. 2025.7.10 (사진=연합뉴스) |
교육부는 또한 '리박스쿨 관련 강사 현황 2차 전수조사 결과'를 발표하며 관련 단체 소속 늘봄학교 강사가 추가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1차 조사에서 57개 학교에 출강한 43명이 확인된 데 이어, 2차 조사에서는 리박스쿨 자매단체인 '생명과학교육연구회'에서 자격증을 받은 늘봄 강사 116명이 올해 241개 초등학교에 출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이들 모두 과학·예술 관련 프로그램 수업만 했고 역사 수업은 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교육 당국은 이들이 활동한 학교들을 대상으로 추가 현장 점검에 나설 예정이다.
손 대표를 교육부 교육정책자문위원회 위원으로 추천했던 이수정 전 자문관은 청문회에서 자신은 학계 교수들의 추천을 받아 전달했을 뿐, 손 대표의 리박스쿨 활동에 대해서는 전혀 알지 못했으며 기사를 보고 놀랐다고 증언했다. 논란이 불거지자 교육부는 지난달 1일 자로 손 대표를 정책자문위원에서 해촉한 바 있다.
한편, 경찰은 지난달 4일 리박스쿨 사무실 등을 압수수색하며 제21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특정 후보 관련 댓글을 조작한 혐의(공직선거법 위반 등)에 대해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리박스쿨 사태로) 국민께서 심려하는 상황이 발생했기 때문에 책임자로서 국민들께 죄송하다는 말씀을 드린다"며, 교육 정책자문위원회 위원 선정 절차 보완을 약속했다.
[ⓒ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