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이어 올해도 日 추도식 불참…윤석열 정부 '대일 굴종외교' 비판 면키 어려워
유가족 외면한 '무능한 외교'…"韓 자체 추도식 개최" 면피용 비판
![]() |
▲ 세계유산 등재된 일본 사도광산 내부 모형 (사진=연합뉴스) |
윤석열 정부가 일본이 주관하는 사도광산 추도식에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불참을 결정했다. 한국인 강제동원 노동자들의 '강제성' 표현을 놓고 일본 측과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는 이유다.
일본은 2024년 윤석열 정부의 동의로 사도광산을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하면서 조선인 강제 노동자 추도식을 약속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또 다시 파기하는 행태를 보이고 있다. 그럼에도 '강제성' 표현조차 관철시키지 못한 윤석열 정부의 '대일 굴종외교'가 또 다시 도마 위에 오르며 국민적 공분이 고조되고 있다.
'강제성' 표현에 일본과 이견…윤 정부, 또 다시 굴욕 외교 자처하나
정부 관계자는 4일 취재진과 만나 "올해 추도식에 참석하지 않기로 했다"고 밝히며 불참 배경에 '강제성' 표현 문제를 들었다. 관계자는 "한국인 노동자들이 의사에 반해 동원돼 강제로 노역해야 했다는 것이 적절히 표현돼야 추모의 격을 갖출 수 있다고 판단했지만, 양측이 추도사 내용 중 노동의 강제성에 관한 구체적 표현에 접점을 찾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이는 고인이 된 사도광산 한국인 노동자에 대한 합당한 애도가 있으려면 그 고난의 근원과 성격이 무엇이었는지 언급해야 한다는 한국 정부의 입장이 일본 측이 제시한 표현 수위에 미치지 못했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문제는 이러한 '이견'이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라는 점이다. 일본은 2024년 사도광산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과정에서 조선인 강제 노동자 추도식을 약속했으나, 이후 '강제성'이라는 핵심 표현을 지속적으로 회피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윤석열 정부는 사도광산의 세계유산 등재에 사실상 동의하며 '대일 굴종외교'라는 비판을 받은 바 있다. 이번 추도식 불참은 그 약속조차 제대로 이행시키지 못하는 윤석열 정부의 '무능한 외교'를 다시 한번 확인시켜주는 셈이다.
![]() |
▲ 일본 사도광산 내 터널(사진=연합뉴스) |
유가족 외면한 '무능한 외교'…'韓 자체 추도식'은 면피용?
일본이 올해 추도식을 오는 13일 개최할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정부는 추도식 전까지 이견을 해소하고 참석 준비에 필요한 시간을 확보하기는 어렵다고 판단했다. 결국 불참 결정을 이날 오전 일본 측에 통보했고, 일본 측은 이를 "경청했다"고 전해왔다는 것이 정부의 설명이다. 하지만 '경청'이라는 모호한 표현은 일본이 한국 정부의 요구를 사실상 묵살했음을 시사한다.
정부는 일본이 주관하는 추도식에 참석하기 어려워진 만큼 유가족들에게 한국 자체 추도식을 개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이마저도 시기나 규모 등이 유동적이며 올해 가을 중 열릴 것으로 예상된다는 점에서 '면피성 대책'이라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다.
강제동원 피해자들과 유가족들의 아픔을 진정으로 위로하고, 일본의 역사 왜곡에 단호히 맞서야 할 정부가 핵심 쟁점에서 일본에 밀려 '자체 추도식'이라는 궁색한 변명으로 책임을 회피하고 있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