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진숙, '빵 100만 원' 법카 유용 의혹엔 "민주당의 저급한 정치 선동"
'공적 리더십'·'사적 도덕성' 모두 파탄…총체적 위기 속 '사면초가'
![]() |
▲ 이진숙 방통위원장 후보자 (사진=연합뉴스) |
이진숙 방송통신위원장이 사면초가에 몰렸다. 법원은 그가 주도한 '방송 장악용 이사 임명'이 위법하다며 철퇴를 내렸고, '빵진숙'이라는 오명을 안긴 개인 비리 의혹에 대해서는 "민주당 탓"이라며 적반하장 격의 해명을 내놔 국민적 공분만 키웠다.
공적 리더십과 사적 도덕성이 하루아침에 모두 파탄 나면서, 그의 거취 문제는 이제 시간문제가 됐다는 분석이다.
법원 "尹정권 방송장악은 위법"…'2인 체제'에 사법적 사망 선고
서울행정법원은 28일, 이진숙-김태규 '2인 체제' 방통위가 날치기로 임명한 MBC 방송문화진흥회(방문진) 이사들의 임명을 "취소하라"고 판결했다.
재판부는 이사 선임 과정에서 지원자들이 이진숙 위원장에 대해 낸 '기피 신청'을 방통위가 부당하게 각하한 것이 "위법하다"고 명시했다. 이는 공정한 심판관이 되어야 할 이 위원장 자신부터 자격에 문제가 있었고, 이를 바로잡으려는 절차마저 묵살한 채 '방송 장악'을 강행했음을 사법부가 공식 인정한 셈이다.
이번 판결로 현 방문진 이사들의 법적 지위가 흔들리는 것은 물론, '2인 체제' 방통위의 모든 결정에 대한 정당성이 뿌리째 흔들리게 됐다.
'빵진숙' 의혹엔 "민주당의 저급한 정치 선동"…'남 탓' 일관
공적 리더십이 붕괴된 바로 그 날, 그의 사적 도덕성 문제도 다시 수면 위로 떠 올랐다. 이진숙 위원장은 과거 대전MBC 사장 시절 법인카드로 '빵 100만 원'을 구매한 의혹에 대해 SNS를 통해 입을 열었다.
그는 "파업 중 고생한 직원 격려용 선물이었다"고 주장하며, '빵진숙'이라는 별명은 "민주당 일부 의원들의 '작업' 결과"이자 "저급한 정치 선동"이라고 책임을 전가했다. 1억 4천만 원이 넘는 법인카드를 주말과 휴일에 고급 호텔, 유흥업소 등에서 사용한 정황이 있다는 고발 내용에 대해서는 침묵한 채, 모든 비판을 '야당 탓'으로 돌리는 뻔뻔함으로 일관했다.
법원의 '위법' 판결과 본인의 '남 탓' 해명이 동시에 터져 나오면서, 이진숙 위원장은 이제 정치적, 사법적, 도덕적 위기에서 헤어 나올 수 없는 '사면초가'의 처지에 놓였다.
[ⓒ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