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생에너지 산업 대대적 육성 선언…1~2년 내 공급망 구축 가능성 언급
“탈원전 이념 아닌 현실적 선택”…ESS·송전망 강화로 보완책 마련 방침
![]() |
▲ 청와대 영빈관에서 이재명 대통령 취임 100일 기자회견을 하던 중 이 대통령 책상 앞 판이 기울어지자 강훈식 비서실장이 정리하고 있다. 2025.9.11 (사진=연합뉴스) |
이재명 대통령이 11일 취임 100일 기자회견에서 “원자력발전소 건설은 15년 이상 소요되고, 소형모듈원자로(SMR)도 아직 기술이 완성되지 않았다”며 “당장 필요한 전력을 가장 빠르게 확보할 수 있는 방법은 재생에너지”라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탄소중립 시대에 화력발전소를 늘릴 수도 없는 만큼, 결국 재생에너지 확대가 유일한 현실적 대안”이라며 “재생에너지 산업을 대대적으로 키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태양광·풍력 등은 1~2년 안에 공급망을 구축할 수 있어 즉각적인 전력난 해소에도 기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앞서 문재인 정부 시절 추진된 ‘무리한 탈원전’과는 달리, 이번 대통령의 메시지는 ‘원전의 물리적 한계’와 ‘시간의 제약’ 속에서 선택한 현실적 에너지믹스 전략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원전이 여전히 중요한 기저 전원임을 인정하면서도, 신규 건설이 사실상 불가능한 상황에서는 재생에너지로 방향을 잡을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일부 전문가들이 “재생에너지의 간헐성”을 우려하지만, 정부는 에너지저장장치(ESS)·송전망 강화 등 보완책을 병행할 방침이다. 대통령은 “탈원전이냐 감원전이냐 같은 이념 대립이 아니라, 국민에게 가장 빠르고 안전한 에너지를 제공하는 게 국가의 책무”라며 “한국형 에너지 미래를 열어가겠다”고 밝혔다.
[ⓒ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