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민주화운동 기념사업회 의왕 청사 (사진=연합뉴스) |
22일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의 '2024년 민주화운동 인식도 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민 10명 가운데 3명만이 '한국 민주주의에 만족한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6월 전국의 만 18세 이상 국민 1천2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이번 조사는 '우리나라 민주주의에 대해 어느 정도 만족하십니까'라는 질문에 31.8%가 '만족한다', '보통이다'는 46.0%, '불만족한다'는 22.2%로 답했다.
'현재 민주주의 수준이 민주적'이라고 답한 비율은 32.7%에 그쳤는데, 이는 '과거 민주주의가 민주적'이라고 답한 비율(33.3%)보다 소폭 낮은 수치다.
'향후 민주주의 수준이 민주적일 것'이라고 예상한 비율은 37.4%였다.
80.3%는 '민주화운동의 사회 발전 기여도에 대해 자랑스럽다'고 응답했고 '자랑스럽지 않다'고 밝힌 비율은 3.6%에 그쳤다.
민주화운동 인식도 종합지수는 73.7점(100점 만점)을 기록했다.
주요 지수인 민주화운동 관련 역사인식(78.0점), 민주화운동 평가(85.7점), 민주화운동 정신계승 및 참여의식(80.5점)의 평균값이다.
주요 민주화운동 가운데 인지도가 가장 높은 것은 '5·18 민주화운동'으로, 76.5점을 기록했다. 그 뒤는 '6·10 민주항쟁'(66.7점), '4·19혁명'(65.8점), '부마항쟁(56.0점)' 등이 이었다.
'주요 민주화운동의 기여도 평가' 항목에서도 '5·18 민주화운동'(77.1점), '6·10 민주항쟁'(76.9점), '4·19혁명'(74.7점), '부마항쟁(70.6점)'의 순으로 나타났다.
한국 사회에서 집단 간 갈등이 가장 심각한 분야로는 '여당·야당 갈등'(85.3점)이 꼽혔다.
이어 '진보·보수 갈등'(83.9점), '영남·호남 지역 갈등'(72.1점), '노사 갈등'(71.9점), '계층 갈등'(70.6점), '세대 갈등'(69.3점) 등으로 집계됐다.
이재오 사업회 이사장은 "향후 민주화운동기념관을 통해 참 민주주의를 실천하고 발전시켜 나가는 데 힘을 쏟겠다"고 말했다.
[ⓒ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