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건희 측 “단순 전달일 뿐, 정치 개입 없었다” 혐의 전면 부인
![]() |
▲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과 명태균 공천개입, 통일교 청탁·뇌물 수수 의혹 혐의 등으로 구속기소 된 김건희 여사가 24일 오후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열린 첫 재판에 출석하고 있다. 2025.9.24 [사진공동취재단] (사진=연합뉴스) |
김건희의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통일교 금품수수·공천 개입 의혹 사건의 세 번째 공판이 22일 서울중앙지법에서 열렸다. 이날 재판에는 공천 개입 의혹의 핵심 인물로 알려진 ‘정치 브로커’ 명태균 씨가 증인으로 출석해, 김건희와 법정에서 처음으로 마주했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7부(우인성 부장판사)는 이날 민중기 특별검사팀이 자본시장법 위반 등 혐의로 기소한 김건희 사건의 속행 공판을 진행했다. 재판부는 명 씨와 명 씨가 실질적으로 운영한 여론조사업체 ‘미래한국연구소’의 등기상 대표 김태열 씨를 상대로도 증인신문을 이어갔다.
명 씨는 2022년 대선을 앞두고 윤석열 부부에게 무상으로 여론조사 결과를 제공하고, 그 대가로 같은 해 6·1 국회의원 보궐선거에서 김영선 전 의원이 공천받도록 개입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이에 대해 김건희 측은 지난달 열린 첫 공판에서 “명 씨가 개인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카카오톡으로 몇 차례 전달했을 뿐”이라며 공천 개입 혐의를 전면 부인했다.
김건희는 또 2010년 10월부터 2012년 12월까지 권오수 전 도이치모터스 회장, 이종호 전 블랙펄인베스트 대표 등과 공모해 도이치모터스 주가를 조작하고 8억1천만 원 상당의 부당이득을 취한 혐의를 받고 있다.
2021년 6월부터 2022년 3월까지 명 씨로부터 2억7천만 원 상당의 여론조사를 무상으로 제공받고 공천 과정에 개입한 혐의, 2022년 4월부터 7월 사이에는 건진법사 전성배 씨와 공모해 통일교 관계자로부터 청탁과 함께 8천만 원 상당의 금품을 수수한 혐의도 있다.
특검은 이날 명 씨의 증언을 통해 공천 개입과 금품 수수 혐의의 직접 연관성을 입증하는 데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김건희 측은 “정치적 음해에 기반한 허위 공세”라며 모든 혐의를 부인하고 있다.
[ⓒ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