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북한의 공개재판 자료 사진 (데일리NK 캡처) |
평양에서 개인 사업으로 큰 부를 축적하며 ‘큰손’으로 불리던 50대 북한 사업가 부부가 당국에 의해 공개 처형된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다. 북한은 이들을 “사업 성공 후 오만해졌으며 반공화국적 행위를 했다”고 규정하고 주민 수백 명을 강제 동원해 총살형을 집행했다.
영국 데일리메일과 대북 소식통들에 따르면 이 부부는 평양 사동구역 조선직업총동맹 중앙위원회에 정식 등록한 뒤 △전기자전거 △전동 오토바이 부품 △일반 자전거 판매·수리·대여 등 민간 사업을 운영하며 상당한 재산을 쌓았다. 장마당에서도 영향력이 클 정도로 성공했지만, 일부 주민들 사이에서는 “가격이 지나치게 높다”, “품질이 떨어진다”, “부부가 거만하다”는 불만도 확산됐다.
북한 당국은 이들이 부업을 통해 ‘과도한 이익’을 챙기고 규정 범위를 넘어선 활동을 했다며 지난 8월 초 체포했다. 이후 공동 심문을 벌여 반동사상·문화배격법 위반 혐의를 적용했고, 외부 조직과 연계해 외화를 불법 이동시키고 반국가적 메시지를 유포했다는 추가 혐의도 붙였다. 당국은 9월 초 사형을 선고하고 관련된 20명에게 추방·재교육형을 내렸다.
공개 처형은 평양 미림 지역의 야외 공간에서 총살 방식으로 진행됐다. 시장 운영자와 상인 등 지역 관리자를 중심으로 주민 200여 명이 강제 참관했고, 아이를 맡길 곳이 없었던 부모와 지나가던 중학생들까지 처형 장면을 목격한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 당국은 주민들에게 “경제 혼란을 막고 대중 교육을 위한 본보기 처벌”이라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조치가 부부가 보유한 재산 몰수를 노린 ‘죄목 부풀리기’일 가능성을 제기하면서도, 동시에 민간 사업의 확대와 외화 유통을 통제하려는 의도가 분명하다고 분석했다.
공개 처형 이후 시장 활동은 단기간 급격히 위축됐다. 부부와 연관된 사업체가 즉각 사라졌고 배터리·부품 가격이 급등하거나 유통이 중단됐다. 상인들 사이에는 “누구든 갑자기 체포될 수 있다”는 공포가 확산됐다는 증언도 나왔다.
북한은 오랫동안 공개 처형을 주민 통제 수단으로 활용해 왔다. 군인 3명이 여러 차례 총격을 가하는 방식이 주로 사용되며, 주민 참관을 사실상 의무화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지난해 유엔 북한인권보고서에 따르면 북한은 외국 드라마·영화 시청, K-팝 유포에도 사형이나 장기 징역형을 적용하는 등 통제를 강화하고 있다.
[ⓒ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