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년 중임제···2028년 총선·대선 동시 실시
명태균 특검법, 민주당에 휘둘려선 안돼
![]() |
▲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 (사진=연합뉴스) |
정치를 재개한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가 “만에 하나 올해 대선이 열리고 대통령에 당선된다면 개헌을 이끌고 3년 뒤인 2028년 물러나겠다”고 밝혔다. 한 전 대표가 대통령 출마 의사를 밝히며 개헌론에 가세한 것이다.
한 전 대표는 "만약 올해 대선이 치러지면 새 리더는 4년 중임제로 개헌하고, 자신의 임기를 3년으로 단축해 2028년에 총선과 대선을 함께 치러야 한다"며 "2028년 대선에는 당연히 불출마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3년은 나라를 다시 반석에 올려놓기에 충분하다”고 강조했다.
한 전 대표가 임기 단축을 전제로 한 개헌 구상을 밝힌 것은 처음으로 이를 조기 대선의 승부수로 던진 모양새다.
그는 다만 "헌법재판소의 탄핵심판 결정 전에 조기 대선을 기정사실화해선 안 된다"고 밝혔다.
선거제도에 대해서는 "지역구 의원은 그대로 두되 비례대표 의원을 상원으로 전환해 중대선거구제로 선거를 치르는 양원제 도입이 가능하다"며 "지역 구도가 타파될 수 있고 의석 독점도 어려워 국회에 견제와 균형이 자리 잡을 것"이라고 전했다.
![]() |
▲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 (사진=연합뉴스)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에 대해선 "2심에서 (공직선거법) 유죄가 나오면 대선 자격이 없다는 걸 본인도 알 것이다. 그런데도 선거에 나올 것"이라며 "그래서 이 대표는 위험한 사람"이라고 비판했다.
마지막으로 명태균 특검법에 대해서는 “정치 브로커가 선거에 영향을 미치는 건 큰 문제다”며 “하지만 지금 민주당의 명태균 특검법은 여당 분열을 노리는 의도가 너무 뻔하다. 휘말려선 안 된다”고 덧붙였다.
앞서 한 전 대표는 12·3 비상계엄 사태를 기록한 책 '한동훈의 선택-국민이 먼저입니다'를 지난 26일 출간하며 본격적인 정치 활동 재개를 알렸다.
이어 다음 달 5일 서울 마포구 동교동에서 북콘서트를 시작으로 정치 활동을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