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민 "테러 지정 실익 없다" 건의...당시 경찰은 현장 물청소 등 '증거인멸'
'김건희 공천개입' 핵심 인물의 '사건 축소'…尹정권 조직적 개입 의혹
![]() |
▲ 2024년 1월 퇴원하는 이재명 대통령 모습 (사진=연합뉴스) |
지난해 전 국민을 충격에 빠뜨렸던 '이재명 대표 피습 사건'을 윤석열 정권이 조직적으로 축소·은폐하려 했다는 정황이 드러났다. 당시 국가정보원 법률특보였던 김상민 씨가 "테러로 지정하지 말자"는 내용의 보고서를 작성한 사실이 국정원 특별감사를 통해 확인됐다.
특히 김 씨는 김건희의 '총선 공천 개입' 의혹의 핵심 인물이어서, 이번 사건이 '김건희의 남자'를 통해 정권 차원에서 기획된 '정치 테러 축소·은폐 게이트'로 비화할 조짐이다.
"테러 지정 실익 없다"…'김건희의 남자'가 쓴 '사건 축소' 보고서
국회 정보위원회 민주당 간사인 박선원 의원은 2일, 국정원 특별감사 중간보고 결과를 브리핑하며 이 같은 사실을 폭로했다. 박 의원에 따르면, 당시 김상민 국정원 법률특보는 "습격 사건을 테러로 지정해서 얻을 실익이 없다"며 '테러로 지정하지 말 것을 건의'하는 보고서를 작성했다.
'찐윤' 검사 출신인 김상민 씨는, 김건희가 지난 총선에서 "조국 수사 때 고생 많았다"며 직접 공천을 챙기려 했던 '김건희의 남자'다. 그런 인물이 국가 최고 정보기관에서 야당 대표 피습 사건을 '테러가 아니다'라고 규정하며 사건 축소를 주도한 정황이 드러난 것이다.
![]() |
▲ 창원 의창 총선 예비후보로 기자회견 하는 김상민 대전고검 검사 2024.2.13 (사진=연합뉴스) |
경찰은 '증거인멸', 국정원은 '축소 보고'…조직적 은폐 의혹
김 씨의 '축소 보고서'는 당시 경찰의 상식 밖 행태와 맞물려 의혹을 더욱 증폭시킨다. 당시 부산경찰은 테러 발생 40분 만에 현장을 물청소하고, 핵심 증거인 피 묻은 와이셔츠를 폐기 직전에 수거하는 등 노골적인 '증거인멸' 행태를 보였다.
박선원 의원은 "당시 국정원이 경찰에 범인 조사 내용 공유를 요청했지만, 부산경찰이 접근 자체를 거부했다"고 밝혔다. 결국 경찰은 증거를 없애고, '김건희의 남자'가 포진한 국정원은 사건을 축소하는 등, 윤석열 정권의 핵심 기관들이 총동원되어 '이재명 정치 테러'의 진실을 조직적으로 은폐하려 한 것 아니냐는 합리적 의심이 제기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