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 존중과 기업하기 좋은 환경, 대립적이지 않아...대화로 오해 풀어야"
민노총 '노정 교섭' 제안, 한노총 '대통령 주도 대타협' 촉구...노동 현안 논의
![]() |
▲ 이재명 대통령이 4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양대노총 위원장과의 오찬 간담회에 참석해 김동명 한국노총 위원장(왼쪽), 양경수 민주노총 위원장과 기념촬영을 하며 손을 잡고 있다. 2025.9.4 (사진=연합뉴스) |
이재명 대통령이 양대노총 위원장들을 만나 "싸워도 대화해야 한다"며 사회적 대화의 필요성을 강력히 피력했다.
취임 후 첫 공식 회동에서 이 대통령은 "노동 존중 사회와 기업하기 좋은 나라가 상호 대립적인 것이 아니다"라며 '포용과 통합'을 국정의 최우선 과제로 제시했다.
민주노총은 '노정 교섭'을, 한국노총은 '대통령 주도 사회적 대타협'을 제안하며 정부의 적극적인 역할을 주문, 노동 현안 해결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다.
'노동 존중'과 '기업 성장'은 양립 가능…대화로 '불신' 해소해야
이재명 대통령은 4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양경수 민주노총 위원장과 김동명 한국노총 위원장과의 오찬 간담회에서 "우리 사회의 제일 큰 과제는 포용과 통합"이라며, 노동계와 재계 간 대화와 소통의 중요성을 거듭 강조했다.
최근 '노란봉투법' 통과로 노동계의 숙원이 일부 해소된 상황에서, 이 대통령은 "노동자에 대한 배려 없이 기업이 존재할 수 없다"면서도, "기업인들도 노조법 개정에 대한 우려를 많이 하는데, 법원에서 인정하는 것을 입법화한 것뿐이라고 설명해도 잘 안 믿는다"며 양측의 불신을 꼬집었다.
이어 이 대통령은 "우리 사회가 불신도 많고 소통도 안 하고 대화가 부족하다는 생각이 많이 든다"며, "일단 대화를 해서 오해를 풀고, 어쩌면 있을지 모르는 적대감 같은 것도 해소하고, 진지하게 팩트에 기반해 입장 조정을 위한 토론을 많이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특히 "정부는 중립적으로 객관적으로 잘 해야 한다. 한 쪽이 이용당한다는 생각이 들면 (대화를) 안 해버린다"고 강조하며 정부의 중재자 역할을 분명히 했다.
![]() |
▲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가운데)이 4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이재명 대통령 주재로 열린 양대노총 위원장과의 오찬 간담회에 참석해 김동명 한국노총 위원장(왼쪽), 양경수 민주노총 위원장과 인사 뒤 자리로 향하고 있다. 2025.9.4 (사진=연합뉴스) |
경사노위 복귀 요청…민주노총 '노정 교섭', 한국노총 '대타협' 제안
이 대통령은 민주노총이 최근 국회가 주도하는 사회적 대화 복귀를 결정한 것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대통령 직속 경제사회노동위원회(경사노위)에도 양대 노총이 적극적으로 참여해 줄 것을 요청했다.
"경사노위가 위원장 선정도 못 하고 있는데 그 문제도 함께 논의하면 좋겠다"며, "우리 사회가 근본적으로 한 단계 도약하려면 사회 안전망 문제, 기업들의 부담 문제, 고용의 안정성과 유연성 문제 등을 터놓고 한 번쯤 논의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이에 양경수 민주노총 위원장은 "노정 교섭을 통해 노정 간 신뢰를 회복하고, 대화의 효용성을 확인하는 것이 선행돼야 한다"며 전면적인 노정 교섭을 제안했다. 또한 5인 미만 사업장 노동자 보호, 특수고용·플랫폼 노동자의 노조할 권리 보장, 노동시장 이중구조 해소 등을 요구하며 "트럼프의 페이스메이커가 아니라 노동자, 서민의 행복메이커가 되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김동명 한국노총 위원장은 "복합 위기와 거대한 전환을 극복하기 위한 과감한 결단에 기반한 대타협이 절실하다"며, "대통령이 직접 각 경제 주체들을 모아 일정 기간 숙의 과정을 진행하고 사회적 대타협을 선언하자"고 제안했다. 아울러 65세 법정 정년 연장과 주 4.5일제 시범 사업 도입 등 노동 현안에 대한 정부의 관심과 지원을 당부했다.
문재인 전 대통령의 오찬 회동 이후 약 5년 6개월 만에 이루어진 이번 만남이, 경색된 노사 관계에 새로운 대화의 물꼬를 트고 주요 노동 현안 해결의 실마리가 될지 귀추가 주목된다.
[ⓒ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