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보안조치도 안 해"…2324만 명 핵심 정보 유출 '총체적 부실'
SKT "재발 방지" 약속하면서도 "처분은 유감"…증권가 "악재 해소"
![]() |
▲ 서울 시내의 한 SKT 직영점. 2025.8.28 (사진=연합뉴스) |
2300만 명이 넘는 국민의 민감한 개인정보를 해커에게 고스란히 내준 SK텔레콤에 정부가 '역대급 과징금 철퇴'를 내리쳤다. 정부는 이번 사태를 "기본조차 지키지 않은 총체적 부실"로 규정했고, SKT는 "유감"이라며 법적 대응 가능성을 시사했다.
"'인재'였다"…기본 보안도 없던 SKT의 '민낯'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28일, SKT에 개인정보위 출범 이후 최대 규모인 1347억 9100만 원의 과징금을 부과한다고 밝혔다. 이는 과거 구글과 메타에 부과된 과징금을 합친 것보다도 큰 액수다.
개인정보위 조사 결과, SKT는 기본적인 접근 통제조차 하지 않았고, 계정 정보는 암호화 없이 그대로 조회할 수 있는 상태로 방치하는 등 보안에 대한 최소한의 책임감조차 없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고학수 위원장은 "유심이라는 핵심 정보가 유출됐다는 사실만으로도 사안의 중대성이 분명하다"며 이번 사태를 '매우 중대한 위반행위'로 규정했다.
SKT "재발 방지" 약속 속 "유감"…시장은 '악재 선반영'
SK텔레콤은 입장문을 통해 "무거운 책임감을 갖고 재발 방지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동시에 "조사 과정에서 입장이 충분히 소명됐음에도 결과에 반영되지 않아 유감"이라며 향후 행정소송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러한 막대한 과징금 부과에도 불구하고, 증권가에서는 오히려 '불확실성이 해소됐다'며 주가 반등을 기대하는 목소리가 나왔다. 한 증권사 연구원은 "천문학적인 과징금 문제가 시끄러운 현시점이 SK텔레콤을 싸게 매수할 수 있는 기회"라고 분석하기도 했다.
기업의 총체적 부실 책임과 시장의 이해관계가 엇갈리는 가운데, 2300만 피해자들의 불안감은 여전히 해소되지 않고 있다.
[ⓒ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