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 후보자, '피해호소인'엔 "부적절"...'박정훈 기각'엔 "죄송, 처절히 반성"
'성평등=제3의 성' 궤변엔 "질문 자체가 혐오"...'힘 있는 여가부' 예고
![]() |
▲ 원민경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3일 국회 여성가족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위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2025.9.3 (사진=연합뉴스) |
원민경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인사청문회에서 국민의힘의 파상공세에 조목조목 반박하면서도, 과거 자신의 과오에 대해서는 "처절히 반성한다"며 고개를 숙였다.
'피해호소인'과 '박정훈 대령 긴급구제 기각' 등 아픈 과거를 후벼 파는 야당의 공세에, 그는 정면으로 돌파하는 동시에 진솔한 사과로 위기를 넘겼다는 평가다.
'피해호소인' 질타엔 "피해자는 피해자"…'박정훈 기각'엔 "처절히 반성"
3일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국민의힘 의원들은 원 후보자의 과거 이력을 집중적으로 파고들었다. 특히 박원순 전 시장 성폭력 사건 당시 민주당 윤리심판원이었던 그를 향해 '피해호소인' 용어에 대한 책임을 추궁했다.
이에 원 후보자는 "피해자를 다른 용어로 부르는 건 적절치 않다. 피해자는 피해자로 불러야 한다"고 명확히 선을 그었다.
이어, 인권위원 시절 '채상병 사건' 박정훈 대령의 긴급구제 신청을 기각했던 과오에 대해서는 "박 대령과 유족들께 너무나 죄송하다"며 깊이 고개를 숙였다. 그는 "절대 기각돼선 안 되는 사건이었다"며 "처절한 반성 속에서 이후 바로잡기 위해 노력했다"고 해명했다.
'성평등=제3의 성' 궤변엔 "질문 자체가 혐오" 일침
야당의 공세는 '이념 검증'으로까지 이어졌다. 국민의힘 의원들은 원 후보자가 내세운 '성평등가족부'의 '성평등'이 '제3의 성'을 인정하는 것이냐, '동성애에 찬성하냐'는 식의 낡은 색깔론을 들고 나왔다.
이에 원 후보자는 "이같은 질문 자체가 차별과 혐오에 해당할 수 있다"고 일침을 놓으며, "제3의 성을 제도적으로 인정하는 것과 실재하는 다양한 성별 정체성을 존중하는 건 다른 문제"라고 맞받아쳤다.
그는 청문회 내내 비동의간음죄, 차별금지법 도입에 찬성 입장을 밝히며, 윤석열 정부에서 위축됐던 여가부를 '힘 있는 성평등가족부'로 만들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했다.
[ⓒ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