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황우여 비대위원장 (사진=연합뉴스) |
국민의힘이 차기 지도부 구성을 두고 단일지도체제와 집단지도체제의 갈림길에서 고민에 빠졌다.
국민의힘 전신인 새누리당은 2016년 총선에 패배하자 집단체제를 단일체제로 바꿨다. 그러나 이후로도 두 차례 총선에서 연거푸 참패하자 최근에는 과거의 집단체제로 돌아가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단일체제는 전당대회에서 당 대표와 최고위원 경선을 따로 진행한다. 집단체제는 단일 경선에서 최다 득표자가 대표최고위원, 차순위 득표자들이 최고위원이 된다.
8년 전 단일체제로 전환한 것은 기존 집단체제에서 친박과 비박의 극심한 계파 갈등이 총선 패배의 원인으로 꼽혔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이후로 들어선 단일체제는 대통령과의 수직적 관계를 극복하지 못했거나 극심한 갈등을 겪었고, 당 대표의 비호감도 또는 리스크가 부각되기도 해 오히려 '득보다 실이 많았다'는 반성이 뒤따랐다.
최근의 4·10 총선 참패 이후 당정의 단일대오를 강조하면서도 당이 주도권을 쥐어야 한다는 주장이 힘을 받으면서 집단체제 논의가 본격화하는 모습이다.
황우여 비상대책위원장은 2일 “당대표 한 사람을 앞세우는 방식으로 가다보면 당대표 한 사람이 흔들릴 때 당이 무너질 수 있다”고 말했다.
당대표에게 권한과 책임이 집중된 단일지도체제에 대한 우려를 나타낸 발언으로 해석된다.
![]() |
▲한동훈 전 비대위원장 (사진=연합뉴스) |
지도체제 개편 논의의 가장 큰 명분은 전당대회 흥행이다.
‘한동훈 대세론’을 의식한 다른 당권 주자들이 전당대회 출마를 주저하면 당 안팎의 관심이 크게 떨어질 것이라는 우려가 깔려 있다.
당 고위 관계자는 “당권 주자로 분류되는 중량급 인사들이 2등 하려고 선거에 나오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결국 국민의힘의 지도체제는 한동훈 전 비대위원장이 당권 탈환에 나설 경우 흔들릴 수 밖에 없다는 이야기다.
한동훈 전 위원장이 출마하면 모든 것을 의지해야만 하는 단일지도체제가 불안하다는 판단아래 별도의 안전장치를 걸겠다는 의지의 표현이지만, 이 같은 바람이 실제로 이어질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3년 뒤 대선에서 정권을 재창출하려면 당 대표 홀로 주목받는 단일체제보다는 대권 잠룡들이 지도부에 두루 포진하는 집단체제가 '인큐베이터'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기대감도 있다.
당 관계자는 "집단체제의 전당대회 흥행 효과는 덤이고, 차기 주자 육성을 위한 기능을 하게 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집단체제로 전환할 경우 부작용이 더 클 수 있다는 우려도 만만치 않다.
대표적인 사례가 2014년 전당대회로 구성된 김무성·서청원·김태호·이인제 등의 집단체제다.
다른 당 관계자는 "지도부 회의만 열면 최고위원들이 사사건건 부딪쳤던 '봉숭아학당 시즌2'가 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국민의힘은 이번 주 안에 지도체제와 전당대회 선출 규정 개정을 논의할 당헌당규개정특별위원회를 가동한다는 방침이다.
[ⓒ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