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100 전력 인프라·신재생에너지로 지속 가능한 전력 확보가 승부 갈라
고배 마신 광주, AI 중심도시 비전 유지...새 도전 방향 모색 중
![]() |
| ▲ (제공=해남 솔라시도CC) |
국가 AI컴퓨팅센터 유치전에서 전남 해남의 ‘솔라시도’가 최종 선정을 목전에 두고 있다.
네이버클라우드, 카카오, KT 등이 참여한 삼성SDS 컨소시엄은 해남 솔라시도를 부지로 선정해 단독 응찰했다. 정부와의 협상이 남아 있지만, 이변이 없는 한 솔라시도가 확정적이다.
총 2조 5,000억 원 규모가 투입되는 이 거대한 인공지능 국가 인프라 구축사업은 단순한 산업시설을 넘어, 국가 디지털 경쟁력을 좌우할 전략적 거점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유치 경쟁의 승패를 가른 요인은 ‘전력 인프라의 안정성’이라고 할 수 있다.
해남 솔라시도는 이미 98MW급 태양광 발전 설비를 갖추고 있으며, 향후 2030년까지 23GW까지 확장 가능한 신재생에너지 부지다. 전력망·냉각수·송전 인프라가 구축돼 있어 ‘지속 가능한 전력 공급’ 조건을 만족시켰다. 특히 RE100(재생에너지 100%)에 최적화된 인프라는 글로벌 AI 빅테크 기업들이 요구하는 핵심 기준에 부합한다. 최근 솔라시도는 SK와 오픈AI 전용 데이터센터도 유치했다.
해남 솔라시도와 경쟁한 광주광역시는 2017년 전국에서 가장 먼저 AI 중심도시 비전을 선포하고, 산업 인프라와 인재 생태계 조성에 힘써왔다. 하지만 부지 매입 비용, 전력망 용량, RE100 기반 등 경제성과 ‘하드웨어적’ 한계가 컸던 것으로 분석된다.
국가 AI컴퓨팅센터 유치와 관련해 민간 기업의 결정권이 상대적으로 우위에 놓인 점에 대해 비판적인 시선도 있다. 하지만 인공지능(AI) 관련 프로젝트에서 ‘심장’에 해당하는 데이터센터 구축은 과거 경부고속도로를 놓듯, 정부의 독점적인 행위만으로 성공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 |
| ▲ 광주 드라이빙 시뮬레이터 (사진=연합뉴스) |
이번 결과에 실망한 광주 민심을 달래기 위해 전진숙 의원(광주 북구을)은 메신저를 이용해 이재명 대통령과 소통한 결과, “어쩔 수 없는 상황입니다. 대안을 찾겠습니다”라는 대통령의 답장을 받았다고 공개했다.
김용범 정책실장과 하정우 AI수석, 우상호 정무수석 등 대통령실 참모들도 광주를 찾아 민심을 청취하기 위해 동분서주한 것으로 알려졌다.
어쨌든 광주광역시는 지금까지 추진해온 인공지능 관련 노력들을 되돌아보고, 새로운 도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모색이 필요하다.
강기정 광주광역시장은 시청 공무원들에게 이메일을 보내 “AI 중심도시 광주의 꿈은 결코 멈추지 않는다”고 강조하면서, “우리는 국내 유일의 공공주도형 AI 생태계를 완성했다. 160개 기업이 광주에 들어왔고 650개의 일자리가 생겼다. 이는 우리 모두의 성취”라고 언급하며 ‘광주 맞춤형’ 도전에 다시 나설 것임을 밝혔다.
일각에서는 광주의 다음 도전 과제로, ▲인공지능 기술을 타 산업과 융합하는 실증 실험도시, ▲AI 윤리 및 교육 거점 도시로의 변모, ▲해남 솔라시도와 연계 방안 모색 등을 제안하고 있다.
![]() |
| ▲ (제공=해남 솔라시도CC) |
한편, 해남 솔라시도 역시 새로운 기회에 설렘과 기대가 크겠지만, 도시 발전 전략 측면에서 생활 인프라 구축을 통한 ‘인구 유입 시대’를 준비해야 할 것이다.
명현관 해남군수는 “RE100이라는 개념이 생소하던 시절부터 5년간 고생해왔다”며, RE100 국가산단 지정과 RE100 산단특별법 제정을 위해 최선을 다해 기업도시로서의 마지막 방점을 찍겠다고 밝혔다.
해남 솔라시도는 2005년 관광레저형 기업도시로 지정돼 2013년부터 개발이 시작됐다. 해남군과 영암군 일대 간척지를 개발해 한국판 ‘플로리다’로 만들겠다는 비전을 내세웠으며, 현재는 에너지 신도시로 거듭나고 있다. 하지만 해남군의 거주 인구는 6만 3천여 명에 불과한 인구소멸지역이다.
특히 국가균형발전전략인 ‘5극 3특’(‘5극’은 수도권과 5대 지방 중심 도시—부산, 광주, 대전, 대구, 강원—를 산업·인재 거점으로 육성하고, ‘3특’은 울산(산업), 전남(에너지), 세종(행정)을 특화시켜 집중 지원하겠다는 구상) 중 ‘3특’에 해당하는 에너지 특화도시로서 구색이 갖춰지고 있는 만큼, 병원·교육기관·복지시설 등 생활 인프라 확충을 통한 인구 유입 전략에 더 많은 신경을 써야 할 것이다.

[ⓒ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