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UAE, 미래산업 동맹 공식화…AI·우주·원전 MOU 7건 체결

韓-UAE 정상회담에서 AI·원전·우주·바이오 등 총 7건의 MOU 체결
양국, SMR·AI 인프라·우주개발 등 미래 전략산업 협력체계를 공식화
CEPA 후속 협력 채널도 마련...교역·투자 구조 협력이 강화될 전망
▲ 아랍에미리트(UAE)를 국빈 방문 중인 이재명 대통령이 18일(현지시간) 아부다비 대통령궁에서 무함마드 빈 자이드 알 나흐얀 UAE 대통령과 한-UAE 확대회담을 하고 있다. 2025.11.18 (사진=연합뉴스)

 

아랍에미리트(UAE)를 국빈 방문 중인 이재명 대통령은 18일(현지시간) 아부다비 대통령궁에서 무함마드 빈 자이드 알 나흐얀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고 미래 첨단산업 중심의 양국 협력 확대에 합의했다.


양국은 이번 정상회담을 계기로 AI·원전·바이오헬스·우주·지식재산·경제협력 등 총 7건의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정상회담에서 양국이 합의한 주요 협력 분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전력공사와 UAE 원자력공사(ENEC)는 ‘원자력 신기술·AI 및 글로벌 시장 협력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양국은 기존 바라카 원전 협력을 기반으로 차세대 원전 기술(SMR 포함)과 제3국 공동 진출 가능성을 함께 모색하기로 했다.


둘째, 양국은 ▲‘AI 분야 협력 MOU’ ▲‘전략적 AI 협력 프레임워크’ 등 AI 관련 문서 2건을 별도로 체결해 산업 전반의 AI 인프라·기술 교류를 확대하는 데 뜻을 모았다.


셋째, ▲‘바이오헬스 포괄 협력 MOU’ ▲‘지식재산 심화 협력 MOU’ 등을 통해 바이오 연구·의료기술·특허·IP 제도 분야에서 구조적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넷째, 이 대통령이 최근 강조한 위성·항법·우주기술 협력을 반영해 ‘우주협력 MOU’도 채택됐다. 양국은 공동 위성 개발과 우주 인프라 구축 분야의 협력을 확대하기로 합의했다.


마지막으로, 지난해 발효된 ‘한-UAE 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CEPA)’의 후속 절차를 위한 ‘CEPA 경제협력위원회 행정·운영 MOU’도 체결됐다. 양국은 CEPA를 활용한 교역·투자 확대 방안을 정례적으로 논의하게 된다.


정상회담에서 무함마드 대통령은 “바라카 원전과 위성 협력 등 양국의 성공 사례를 기반으로 AI·우주 분야에서 협력을 확대하겠다”고 밝혔고, 이 대통령은 “한국은 AI·반도체·원전 분야에서 UAE의 전략적 파트너가 될 준비가 되어 있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이번 정상회담을 통해 양국 관계를 미래 첨단산업 중심의 장기적 파트너십 구조로 확장했다”고 밝혔다.

[ⓒ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시사타파뉴스 / 2025-11-18 19:51:29
카톡 기사보내기 https://m.sstpnews.com/news/view/1065609197394520

URL주소가 복사 되었습니다.
이제 원하는 대화방에서 붙여넣기 하세요.

뉴스댓글 >

댓글 0

"함께하는 것이 힘입니다"

시사타파 뉴스 회원이 되어주세요.

부패한 기득권 세력에 맞서 국민들의 알 권리 충족과 진실 전달에 힘쓰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