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훈 '계엄 관련 기록' 은폐 의혹도
![]() |
▲ 22일 국회에서 열린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 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 특별위원회' 1차 청문회에서 의원질의에 답하고 있는 김성훈 경호차장 (사진=연합뉴스) |
윤건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4일 12·3 불법계엄 사태 당시 대통령경호처에서 민간인인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에게 직접 비화폰(보안 처리된 특수전화)을 제공했다고 주장했다.
윤 의원은 이날 국회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 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 특별위원회 2차 청문회에서 "제가 여러 루트로 확인한 결과 경호처에서 노상원씨에게 직접 비화폰을 제공했다고 들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윤 의원이 "끝 번호가 9481인 번호가 노씨가 썼던 것으로 확인된다"고 말하자, 비화폰 관리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김대경 경호처 본부장은 "정확하게는 (기억나지 않는다)"면서 말끝을 흐렸다.
그러자 윤 의원은 김 본부장을 향해 "기억나게 해드리겠다"며 "계엄 하루 전인 12월 2일 김성훈 경호처 차장의 김모 비서관이 (경호처에) 와서 비화폰을 가져갔다"고 주장했다. 구체적인 증거로는 경호처 불출대장에 적힌 '테스트(예)' 기록을 제시했는데, 윤 의원은 예비역인 노씨에게 비화폰이 지급된 기록으로 설명했다.
윤 의원이 제시한 불출대장에는 '테스트(특)', '테스트(수)', '테스트(방)'도 함께 적혀있었는데, 각각 특수전사령관, 수도방위사령관, 방첩사령관에게 제공된 비화폰으로 추정된다.
윤 의원은 이어서 김 차장이 계엄 관련 기록 은폐를 시도했다는 의혹도 제기했다. 윤 의원은 "김 차장이 지난해 12월 13일 금요일 김 본부장에게 지시를 했다. 자신(김 차장)이 내란과 결부된 게 들어와서 관련 (불출대장) 기록을 삭제할 것을 요구했다. 그 요구를 받은 적 있냐"고 물었지만, 김 본부장은 "관련 내용은 현재 수사가 진행되고 있다"는 이유로 답변을 피했다.
앞서 지난달 22일 열린 1차 청문회에서도 노 전 사령관이 계엄 당시 비화폰을 사용했다는 진술이 나온 바 있다.
박선원 민주당 의원은 당시 방정환 국방혁신기획관에게 "12월 3일 저녁 회의를 마치고 노씨가 쓰던 비화폰을 받아 장관실(김용현 전 국방장관 집무실)에 갖다준 적이 있냐"고 물었고, 방 기획관은 "네. 그 사항은 제가 수사기관에 진술한 바가 있다"고 사실을 인정했다.
[ⓒ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