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국제해사기구 IMO 홈페이지 (화면 캡쳐=IMO.org) |
31일 새벽 서울 시민들을 불안에 떨게 했던 위급재난문자와 관련, 북한이 정찰위성 발사 계획을 국제해사기구 (IMO)에 미리 통보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IMO 관계자 등에 따르면 북한은 지난 30일 오전 영국 런던 IMO 본부의 해사안전국 담당자에게 이메일로 위성 발사 계획을 알렸다. IMO는 해운·조선 관련 국제협약을 제·개정하는 유엔 산하 전문기구다.
북한은 통보문에서 "위성 발사에 관해, 일본 해상 보안청에 이와 같은 내용으로 알렸다"고 밝혔다.
발사 일정은 UTC(협정세계시) 기준 5월 30일 오후 3시부터 6월 10일 오후 3시 사이로 나와 있다. 이는 한국 기준 5월 31일 0시부터 6월 11일 0시 사이다.
잔해물 등의 낙하 예상 지점으로 1차, 2차, 3차로 나눠서 서해 두 곳과 필리핀 동쪽 해상 한 곳 등 총 3곳의 좌표를 적어놨다.
이에 앞서 일본해상보안청은 29일 북한 당국으로부터 31일 0시부터 내달 11일 0시 사이에 인공위성을 발사하겠다는 통보를 받았다고 밝혔다.
당시 교도통신에 따르면 북한은 이 기간에 인공위성 발사에 따라 해상에 위험구역을 설정하겠다는 계획을 전달했다.
북한이 IMO에 위성 발사를 통보한 것은 2016년 이후 처음이다.
![]() |
▲서울역 대합실 TV에 관련 뉴스속보가 보도중인 모습 (사진 출처=연합뉴스) |
IMO와 일본까지 발사 계획을 미리 통보했던 사실을 제대로 인지하지 못한 채, 마치 큰 사건이라도 일어난 듯 호들갑 떨며 위급재난문자를 전달한 윤석열 정부와 서울시.
최요한 시사평론가는 “올바른 정보 제공을 통해 국민의 불안감을 해소해야 하는 정부가 오히려 혼란을 부추기고 있다”면서 “안전관리 공무원들에게 책임을 미루기보다 의사결정과정의 핵심라인이 반성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편, 유엔은 북한의 정찰위성 발사 계획에 대해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제재 결의 위반일 수 있다고 경고했다.
스테판 뒤자리크 유엔 대변인은 30일(현지시간) 성명을 내고 "(안토니우 구테흐스) 사무총장은 북한에 지속가능한 평화와 한반도의 완전하고 검증가능한 비핵화를 향한 외교적 노력을 재개할 것을 촉구한다"고 전했다.
뒤자리크 대변인은 "탄도미사일 기술을 사용한 어떠한 발사도 관련 안보리 결의에 반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 |
▲ 북한인공위성 발사계획 관련 정보 (이미지 출처=연합뉴스) |
[ⓒ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