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송참사 1주기 추모제 (사진=연합뉴스) |
오송 지하차도 참사 1주기를 맞은 15일 오후 사고가 난 오송읍 궁평2지하차도에서 추모제가 열렸다.
최은경 유가족협의회 공동대표는 "국무조정실 감찰 결과가 발표될 때까지만 해도 진상규명과 최고책임자 처벌이 해를 넘길 줄은 몰랐다"며 "어머니를 향한 그리움에 1년간 악몽 같은 시간을 보내고도 유가족이 여전히 거리에 나서야 하는 현실이 너무나 기가 막힙니다"라고 말했다.
최 공동대표는 "오송참사는 막을 수 있었던 기회가 여러 차례 무산된 참사"라면서 "피해 가족이 국가에 대한 신뢰를 저버리지 않게 해 달라. 제발 대한민국을 각자도생의 나라로 만들지 말아달라"고 울먹였다.
생존자협의회 대표는 "당시 지하차도에서 함께 빠져나오지 못해 고인이 된 동승자 형을 어제 만나고 왔다"면서 "왜 이런 참사가 발생했는지 알아야겠다고, 형을 이렇게 만든 책임자들이 꼭 처벌받게 하겠다고 다짐하고 또 다짐했다"고 말했다.
이어 "오송 참사를 계기로 국가와 지자체가 시민들을 지켜주지 않는다는 사실이 여실히 드러났다"면서 "국가가 시민들의 목숨을 더 이상 운에 맡기는 일이 없도록 시민들께서는 부디 오송 참사를 잊지 말고 기억해달라"고 힘주어 말했다.
유가족·생존자협의회와 시민대책위원회 회원 약 200명이 참석한 이날 추모식에는 민주당 박찬대 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 등 지도부와 임호선 의원 등 충북지역 민주당 국회의원들도 참석했다.
박 직무대행은 추도사에서 "많은 총선 출마자가 공약으로 진상 규명과 최고책임자 처벌을 약속했지만, 유족들께서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지 못한 것 같다"면서 "다시는 이런 비극이 일어나지 않도록 책임자 처벌과 재발 방지를 위한 국정조사를 적극적으로 진행해 나가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 |
▲오송참사 1주기 추모제 (사진=연합뉴스) |
이태원 참사 유가족과 세월호 참사 유가족 등도 자리를 함께했다.
김종기 4.16 세월호참사 가족협의회 운영위원장은 "세월호 참사 이전과 이후는 바뀌어야 한다고 유족들과 시민들이 10년을 싸웠는데도 국민 생명과 안전에 대한 국가의 인식은 바뀌지 않은 것 같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진상규명부터 책임자처벌까지 뭐 하나 제대로 된 것이 없다. 정부는 제대로 된 대책을 세워 이런 중대시민재해가 다시는 발생하지 않도록 대책을 강구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