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종섭 전 장관 증언 모습 (사진=연합뉴스) |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은 해병대 채모 상병 순직 사건과 관련해 사망한 해병대원의 명복을 빌고 유가족에게 사과한다면서도 "이첩 보류는 적법한 지시라고 확신한다"며 수사 외압 의혹을 적극 반박했다.
이 전 장관은 21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서 열린 채상병 특검법 입법청문회에 출석해 "세간에는 (임성근 해병대 제1)사단장을 빼고 이첩했다는 얘기가 많은데 그렇지 않다"고 말했다.
이 전 장관은 해병대 수사단의 초기 조사 결과에 혐의자로 적시됐던 초급간부 2명을 빼라고 했을 뿐이라며 "해병대 1사단장을 포함해서 경북경찰청에 해병대 수사단에서 조사했던 기록 일체를 그대로 이첩했다"고 말했다.
이 전 장관은 지난해 8월 2일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이 경찰에 수사기록을 이첩했다는 사실을 전해 들은 뒤 국방부 검찰단장에게 수사하라고 지시하고 해병대 사령관에게 인사 조치를 검토하라고 지시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두 가지 지시를 한 뒤 대통령실의 전화를 받았다"며 "제 기억도 통화기록상도 지시한 뒤 전화를 받았다"고 주장했다. 대통령실 전화를 받은 뒤 박 전 수사단장이 보직 해임된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이 전 장관은 7월 30일 수사 보고를 받은 뒤 여단장과 초급 간부들에게 왜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가 적용돼야 하느냐고 의문을 제기했지만 "유가족분께 이미 다 설명됐다는 말을 듣고 제가 단호하게 재검토를 시키지 못한 채 알았다며 결재했다"고 말했다.
이 전 장관은 "7월 31일 낮 12시 직전 해병대 사령관에게 전화해 이첩 보류를 지시했다"며 "제가 전날 보고받았을 때 의문점을 가진 것을 좀 더 확인하고 싶었고 보고 당시 대변인과 정책실장만 배석했기 때문에 법무관리관실 의견도 듣고 싶어 일반 보류하라고 지시했다"고 설명했다.
또 사건 기록이 경찰에 처음 이첩됐다가 국방부가 회수한 날인 지난해 8월 2일 당시 윤석열 대통령과 했던 통화가 기록상으로는 3차례지만, 실제는 2차례였다고 밝혔다.
이 전 장관은 "제가 차량으로 이동 중에 받은 것이라 와이파이가 끊어졌다"며 "(대통령과의 통화가) 기록상 3번이지만 실제는 2번"이라고 말했다.
와이파이가 끊어져서 통화가 안 됐다는 게 무슨 의미냐는 질문에는 "그때 차량 이동 중인데 전화가 끊어졌다"며 "기술적인 부분을 몰라서 그 부분은 답변을 정정하겠다"고 덧붙였다.
군사법원에 제출돼 공개된 통화기록에 따르면 지난해 8월 2일 윤 대통령 개인 휴대전화 번호로 이 전 장관에게 3차례 전화가 갔다.
이 전 장관은 "군 작전 과정에서 안타까운 희생자가 발생해 참으로 송구하고 다시 한번 안타까운 마음을 전한다"면서 "1년이 다 되어가는 시점에도 논란이 해소되지 않는다는 점에 대해 유가족분께 참으로 송구하다는 말씀을 다시 한번 올린다"고 사과했다.
[ⓒ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