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청래 대표 발언, 경제 활성화 의도는 분명하지만 단순 지수 목표는 재고 필요
![]() |
▲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현황판에 코스피 지수 등이 표시되고 있다. 이날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9.46포인트(0.57%) 오른 3,444.06에, 코스닥은 4.33포인트(0.51%) 오른 846.32에 개장했다. 2025.10.1 (사진=연합뉴스) |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최근 한국거래소를 찾아 “코스피 5000 시대를 현실로 만들겠다”며 당력을 집중하겠다고 선언했다. 표면적으로는 경제 활성화와 국민 소득 증진을 위한 전략처럼 보이지만, 일반 국민 입장에서는 체감하기 어려운 목표처럼 보일 수도 있다.
첫째, 코스피 5000 달성은 주식 투자자 일부에게만 혜택을 주는 목표다. 주식을 하지 않는 다수 국민에게는 상대적 박탈감을 줄 수 있으며, 금융 중심 정책이 사회적 갈등을 심화시킬 우려가 크다. 민주당이 진정으로 국민을 위한다면, 특정 지수에 매몰되기보다 체감 가능한 경제정책과 취약계층 지원을 우선해야 한다.
둘째, 코스피는 경제의 부산물이지, 정치가 목표로 삼을 수 있는 지표가 아니다. 정 대표는 주식시장 활성화가 가계소득 증가와 소비 확대로 이어진다고 주장하지만, 이는 단기적 현상에 불과하다. 장기적 경제 성장과 사회적 안정은 주식시장 지수에 집중한다고 해서 달성되지 않는다.
셋째, 최근 주식 불황기 후 뒤늦게 뛰어든 개미 투자자들은 손해를 보고 있다. 코스피가 올라가면 ‘선점한 투자자’만 이익을 볼 뿐, 뒤늦게 참여한 다수는 피해를 볼 가능성이 크다. 이 상황에서 정치권이 지수 상승에 집중하는 것은 공정성과 형평성을 외면하는 처사다.
![]() |
▲ 민주당 최고위에도 코스피 3,400 돌파 2025.9.15 (사진=연합뉴스) |
코스피 5000은 좋은 목표이긴 하지만, 당력을 집중할 대상은 아니다. 단순 지수를 정치적 성과처럼 내세우는 방식은 국민 체감 없는 수치 경쟁으로 전락할 수 있으며, 경제정책의 본질을 훼손할 수 있음을 민주당은 명심해야 한다.
결국, 이재명 대통령의 코스피 5000 공약이 현실화되는 것은 단순히 숫자를 달성하는 것이 목적이 아니라, 경제 전반이 안정되고 성장하며 국민 모두가 그 혜택을 체감할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졌다는 신호다.
민주당이 지수 자체에 몰두하기보다는 실질적 경제정책과 국민 체감형 성장 전략에 집중할 때, 코스피 5000 달성도 자연스럽게 따라올 것이다. 경제 정책의 궁극적 목표는 국민 모두가 실질적인 경제 혜택을 누리는 사회를 만드는 데 있음을 잊어서는 안된다.
[ⓒ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