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구속 기각 후 발언하는 이재명 대표 (사진=연합뉴스) |
이재명 대표의 체포영장 기각 이후 전반적으로 비명계의 발언 수위가 낮아진 가운데 일부 비명계 의원은 여전히 사법리스크를 언급하며 이재명 대표의 퇴진을 주장하고 있다.
이상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한 라디오 인터뷰에서 '이재명 대표 체제로 총선까지 가는 것이냐'고 진행자가 묻자 "가능하면 빨리 대표직을 사임하는 게 적절하다"며 "영장 기각과 관계없이 사법 리스크가 완전히 해소된 건 아니다"고 답했다.
이 의원의 '이재명 퇴진론'은 비명계 일부에서 지속적으로 제기하는 문제로 구속영장 기각으로 이 대표의 사법 리스크가 완전히 해소된 건 아니라고 주장한다.
이원욱 의원은 "이런 시점에 당을 어떻게 통합하고, '원팀'으로 갈지 고민하는 게 진정한 지도자의 모습"이라며 "분열을 획책하는 단어를 남발하는 건 지도자의 모습이 아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 의원은 "가결한 의원들 덕분에 당이 방탄 프레임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며 "가결했다고 밝힌 의원들에 대해서는 표창을 줘야 한다"는 발언을 하기도 했다
김종민 의원은 "중립적 기관인 법원의 판단을 구해보는 게 지루한 싸움을 정리·정돈하는 중요한 계기가 됐다"고 항변하며 오히려 잘 됐다고 주장했다.
이어 최고위의 해당행위자 처벌 방침에 맞서 "무기명 비밀투표인데, 밝히라는 것 자체가 민주주의를 배신하는 행위"라고 반박했다.
조응천 의원은 당내 '가결표'에 대해 "국민에게 약속을 지키는 정당, 방탄에서 벗어나는 정당이 되기 위해 한 것이지 구속되라고 한 건 아니다"라며 "해당 행위로 몰아가는 건 맞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이어 "재창당 각오로 당내 통합과 혁신의 계기로 삼아야지 누구를 색출해 골라낸단 건 여당이 좋아할 일"이라며 "통합을 위한 노력을 더 해야지 마녀사냥으로 가면 힘들어진다"고 강조했다.
[ⓒ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