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덕수 국무총리 (사진=연합뉴스) |
한덕수 국무총리는 포털 '다음'의 항저우 아시안게임 응원페이지 여론 조작 의혹과 관련, 범부처 태스크포스 구성을 지시했다.
4일 한 총리는 방송통신위원회로부터 긴급 현안 보고를 받은 뒤 "방통위를 중심으로 법무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문화체육관광부 등 유관 부처와 함께 '여론 왜곡 조작 방지 대책'을 마련하기 위한 범부처 TF를 시급히 구성하라"고 지시했다고 국무조정실이 전했다.
한 총리는 "가짜 뉴스는 민주주의의 근간을 뒤흔드는 심각한 사회적 재앙"이라고 말했다.
지난 1일 열린 항저우 아시안게임 축구 한국과 중국의 8강전 당시 다음 응원 페이지에서는 중국팀을 클릭해 응원한 비율이 한때 전체의 91%에 달해 논란이 일었다.
![]() |
▲다음 댓글 분석 캡쳐 화면 |
이 문제와 관련하여 IT업계에 정통한 한 전문가는 "중국을 기점으로 국내 포털 댓글을 작업하는 팀이 있었다는 것이 이번 응원으로 드러난 것"이라면서 "국내 포털을 상대로 중국내에 활동하던 조직들이 자국과의 축구 경기에서 압도적으로 중국을 응원하는 이변이 발생한 것일 뿐"이라고 지적했다.
이 전문가는 "개인정보를 불법으로 취득해 평소에는 눈에 띄지 않게 댓글 작업을 하며 여론의 방향을 조작해오던 세력이 있다는 의심이 있었지만 확실한 증거를 찾지 못했던 상황"이라면서 "소위 국뽕이 극대화되는 아시안 게임에서 91%라는 압도적인 댓글 점유율을 보인 것은 평소 어떻게 여론이 조작되어 왔는지를 보여주는 '결정적인 증거'가 될 수 있다"고 언급했다.
한편 카카오 다음 측은 "분석 결과 한중 8강전 클릭 응원 수의 이상 현상은 이용자가 적은 심야 시간 대 2개 IP가 매크로 프로그램을 활용해 만들어낸 이례적인 현상으로 파악하고 있다"라며 "서비스 취지를 훼손시키는 중대한 업무방해 행위로 간주, 경찰에 수사를 의뢰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과연 2개의 IP만으로, 똑같은 댓글이 아닌 여러 아이디가 다양한 중국 지지 문장을 꾸준히 표현한 것이 가능한 지에 관한 지적도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