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황우여 비대위원장과 당헌당규개정특위 위원들 (사진=연합뉴스) |
국민의힘이 11일 당 대표 선출 방식을 개정할 것으로 알려졌다.
윤석열 대통령 취임 이후 이준석 전 대표를 축출하면서 진행된 당 대표 선거는 일반 여론조사 30%와 당원 투표 70%의 룰을 변경하는 것으로 시작했다.
당시 여론조사는 압도적으로 유승민 전 의원이 지지를 받았지만 당원 투표만으로 선출하는 방식으로 바뀌면서 유 전 의원은 사실상 밀려났다.
이후 나경원 의원이 출사표를 던졌지만 석연치 않은 이유로 김기현 전 대표의 손을 들어주면서 출마 철회로 이어졌던 것이 국민의힘 대표 선출의 이면이었다.
이렇듯 '당원투표 100%'를 반영하는 현행 대표 선출 방식은 일반국민 여론조사를 일정 부분 반영하는 방안을 11일 확정될 예정이다.
현재 국민의힘은 여론조사를 20% 또는 30%를 반영하는 두 가지 방안을 놓고 저울질 중인데, '당원투표 70% + 일반국민 여론조사 30%' 방안이 채택될 가능성이 더 큰 것으로 알려졌다.
여상규 당헌당규개정특위 위원장은 10일 당사에서 "오늘 의견 접근이 많이 이뤄져서 내일 완성된 결론을 말씀드릴 수 있을 것 같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에서는 전대 규정에서 당원투표와 일반 여론조사 비중을 '8대 2' 또는 '7대 3'으로 적용하는 방안이 집중적으로 논의됐다.
결론을 내진 않았지만, '7대 3'에 더 무게가 실렸던 것으로 전해졌다.
'8대 2'는 주로 원내 의원들이 지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여 위원장은 회의에 앞서 전대 룰에 대해 "민주당은 7.5(당원) 대 2.5(일반 국민)인데, 우리는 그 양쪽으로 8대 2나 7대 3, 어느 것도 괜찮다"고 말했다.
한편, 지도체제는 현행 단일지도체제를 집단체제 또는 절충형 2인 체제로 바꿀지가 쟁점이지만, 이날 회의에서는 지도체제 변경이 어렵지 않겠냐는 분위기가 주를 이룬 것으로 전해졌다.
단일체제는 당 대표와 최고위원단을 분리 선출하는 것이고, 집단체제는 단일 경선에서 최다 득표자가 대표최고위원, 차순위 득표자들이 최고위원이 되는 방식이다.
여 위원장은 '집단지도체제는 아직 이르다는 의견이 당내에 있다'는 질문에 "그런 의견도 참고했다"고 설명했다.
특위는 11일 오전 추가 회의를 열어 논의한 뒤 결과를 발표하고, 당 지도부인 비상대책위원회에 보고할 계획으로 최종 변경안이 결정되면 이는 향후 비대위 논의를 거쳐 상임전국위원회·전국위원회에서 의결된 후 확정될 예정이다.
[ⓒ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