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철규 의원 (사진=연합뉴스) |
이철규 국민의힘 의원은 8일 당 대표 선출을 위한 전당대회 룰 개정 문제와 관련해 "선출된 권력, 정통성 있는 권력이 이 제도를 바꾸는 게 맞다"고 말했다.
이 의원은 "당원 뜻에 따라 선출된 당 지도부가 당직자의 선출 규정, 그다음에 공직 후보자의 공천 경선 규정을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은가를 결정하는 게 좋을 것 같다"고 설명했다.
SBS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 인터뷰에 출연한 이 의원은 현재 '당원투표 100%'인 대표 선출 규정을 이번 전대에는 그대로 적용하고, 향후 어떻게 손볼지에 대해선 황우여 비상대책위원회 체제가 아닌, 전당대회를 통해 새롭게 선출될 지도부에 맡기는 것이 옳다고 언급했다.
이 의원은 한동훈 전 비상대책위원장의 전당대회 출마 여부와 관련해선 "당사자가 판단할 문제"라고 말했지만, 총선을 진두지휘한 한 전 위원장의 전당대회 출마 가능성에 대해 비판적인 인식을 감추지 않았다.
이 의원은 "내가 이번에 원내대표를 안 하겠다는 결심을 가진 근저에는, 공천관리위원으로서 우리가 진 선거 결과에 느낀 책임감이 있다"며 "당과 국민을 위해 더 정치적 기여를 하고 싶은 욕망을 접은 배경은 거기에 있다"고 강조한 것이 이같은 맥락이다.
이 의원은 여당의 총선 패배 책임론을 두고는 "선거는 당이 치르는 것"이라며 "무조건 우리(당)는 잘못이 없는데 대통령이 잘못했다, 용산이 잘못했다고 프레임을 짜는 것은 지극히 위험하다"고 말했다.
'윤석열 대통령보다 한동훈 전 위원장 책임이 크다는 이야기냐'는 물음엔 "한동훈 한 사람의 책임이라고 주장하지 않았다"며 공천과 선거 캠페인, 선거대책위원회 구성 등에서 부족함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 의원은 이번 원내대표 선거에 불출마한 데 대해선 "진즉부터 내리고 결단하고 있었다"며 자신의 뜻과 상관없이 거론되어 왔음을 강조했다.
한편, 국민의힘 원내대표 선거는 이 의원의 불참속에 이종배(4선·충북 충주), 송석준(3선·경기 이천), 추경호(3선·대구 달성) 의원의 3파전으로 진행되며 9일 신임 원내대표가 선출된다.
[ⓒ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