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유승민 전 의원 (사진=연합뉴스) |
유승민 국민의힘 전 의원은 26일 내년 총선을 앞두고 분출하는 신당 창당론과 관련해 "기대는 큰 데 기준은 엄격해서, 신당이 성공할 수 있는지는 냉정하게 봐야 할 문제"라고 말했다.
유 전 의원은 이날 MBC 뉴스외전 - 선택 2024에 유시민 작가와 함께 출연해 이준석 전 국민의힘 대표, 이낙연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신당 연대' 가능성에 관해 토론하며 이같이 밝혔다.
유 전 의원은 "신당이 막상 해보면 엄청난 각오 없이는 정말 성공하기 힘들다"며 창당을 해 봤던 경험에 비추어 부정적인 입장을 내보였다.
특히 "진보 진영에 있는 분들이 만드는 신당의 지지율을 합하면 '이준석 신당' 보다 훨씬 크다"며 "단윤(斷尹), 단명(斷明)으로 다 모여서 간다고 해서 잘 될 수도 없고, 된다고 한들 그 지지가 이준석-이낙연 신당으로 계속 간다는 보장은 없다"고 지적했다.
그동안 윤석열 대통령과 대립각을 세워온 유 전 의원 역시 총선을 앞두고 탈당, 신당 창당 등 '독자 행보'에 나설 가능성이 거론돼 왔다. 이날 발언은 이튿날 탈당을 예고한 이 전 대표와 함께할 가능성은 없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유 전 의원은 총선 관련 거취에 대한 질문이 이어지자 "탈당 여부나 신당으로 새로 시작하는 지 여부에 대해서는 생각만 오래 했고, 아직 결심하지 않았다"며 즉답을 피했다.
그렇지만 "늦지 않게 내 결심을 국민들께 밝힐 것"이라며 "이상과 현실 사이에 걱정이 많다. 잠시 바른정당에 갔다 온 3년도 있지만 이 당의 변화를 24년 동안 추구해왔다"도 말했다.
유 전 의원은 여당의 총선 위기론에 대해 윤 대통령 내외를 향해 날을 세웠다.
유 전 의원은 "가장 큰 책임은 윤석열 대통령한테 있는 것"이라며 "왜 당에 이렇게 쓸데없이 개입하시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지금 윤 대통령이 공천을 다 할 것 같지 않나. 대통령과 대통령 부인과 한 위원장이 3인 1조가 돼서 공천한다는 얘기가 있다"고도 주장했다.
이어 "김건희 특검법, 또 김건희 여사의 명품백 수수 문제 이런 것이 리스크"라며 "다 털고 가야 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도 살고 국민의힘도 살고, 총선이 정상적으로 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유승민 전 의원 (사진=연합뉴스) |
한편, 유승민 전 의원은 대구 동구에서 4선 국회의원을 지내며 새누리당의 원내대표까지 맡았지만 박근혜 전 대통령과 마찰 끝에 원내대표직을 사퇴하고, 최순실 게이트로 박근혜 정부가 무너지자 바른 정당을 창당한 바 있다.
이후 19대 대선에 출마했지만 4위, 국민의당과 합당한 후 중도 보수인 바른 미래당을 창당했지만 7회 지방선거에서 참패하고 바른미래당을 탈당하고 새로운보수당을 창당했으나 결국 자유한국당의 위성정당인 미래통합당으로 흡수된 바 있다.
20대 대선에서 국민의힘 경선에 참여하며 윤석열 대통령의 손바닥 왕(王)자를 비롯, 무속인 관련 이야기를 언급했지만 3위에 그쳤고, 2022년 경기도지사 선거에서는 김은혜에 밀려 당내 경선을 통과하지 못했다.
[ⓒ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