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최재경 전 박근혜정부 청와대 민정수석 (사진=연합뉴스) |
검찰이 10일 최재경 전 박근혜정부 청와대 민정수석을 소환했다. 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1부(강백신 부장검사)는 이날 최 전 수석을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했다.
검찰은 지난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명예훼손 의혹을 중심으로 대장동 관련 보도 등에서 최 전 수석이 등장한 부분에 대해 전반적인 사실관계를 조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2022년 대선을 8일 앞두고 윤석열 대통령의 부산저축은행 수사 무마 의혹을 뒷받침하는 내용이라며 한 매체가 공개한 '최재경 녹취록'을 보도한 의혹을 수사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김병욱 보좌관인 최모씨의 발언을 최 전 수석의 발언으로 둔갑시켜 허위 보도했다는 게 검찰의 판단이다.
기사에는 조씨의 사촌 형이자 박연호 전 부산저축은행 회장의 처남인 이모씨가 "김양 부회장이 구속되기 전 조우형이 김 회장의 심부름꾼이었거든요. 솔직히"라고 말하자 최 전 수석이 "윤석열이 그런 말 했다"고 맞장구쳤다는 내용이 담겼다.
이에 이씨가 "윤석열이 그런 말 했냐? 조우형이 박영수 변호사를 쓴 건 신의 한 수였다"고 답했다는 대목도 있다.
최 전 수석은 부산저축은행 사건 수사 당시 윤 대통령의 상사인 대검 중수부장이었다.
최 전 수석은 지난해 10월 "보도를 지금 봤고 이씨를 전혀 모른다"고 밝힌 바 있다.
검찰은 이후 녹취록 보도에 관여한 혐의로 이재명 민주당 대표의 대통령 선거 대책위 대변인을 지낸 송평수 민주당 법률위원회 부위원장을 압수수색하는 등 녹취록 보도 경위와 그 배후에 관한 수사를 이어왔다.
최 전 수석은 대장동 사업 투자자인 화천대유자산관리 대주주 김만배 씨로부터 50억원을 받았거나 받기로 약정했다는 '50억 클럽 의혹'의 당사자 6명 중 한 명이기도 하다.
윤석열 정부에서 수사팀이 새로 구성된 이후 '50억 클럽'에 거론된 인사 중 본격적인 수사가 이뤄진 것은 곽상도 전 의원과 박영수 전 특검뿐이다.
권순일 전 대법관과 홍선근 머니투데이 미디어그룹 회장은 의혹이 불거진 직후인 2021년 검찰 조사를 받았다. 최 전 수석과 김수남 전 검찰총장은 서면조사를 받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야권에서는 검찰 수사가 부진하다며 '50억 클럽 특검법'을 추진했으나,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5일 거부권을 행사한 바 있다.
다만 최 전 수석은 '50억 클럽' 의혹이 불거졌을 당시 "황당하고 터무니없는 이야기"라고 일축한 바 있다.
[ⓒ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