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0 민중항쟁으로 주권을 되찾은 6·29선언 [김용택 칼럼]

1987년 6월 29일은 주인이 주권을 되찾은 날
▲87년 당시 침묵시위 벌이던 서울대생들 (사진=연합뉴스)

 

책상을 '탁' 치니 '억' 하고 죽었다

 

1987년 1월14일, 자정 무렵 하숙집에서 치안본부 대공분실 수사관 6명에게 연행되어 물고문을 받다 치사한 박종철. 

 

1987년 1월 13일 자정 무렵, 서울대학교 언어학과 3학년에 재학 중이던 박종철 군은 하숙집에서 치안본부(현 경찰청) 대공분실 수사관 6명에게 연행되어 ‘대학 문화 연구회’ 선배이자 ‘민주화 추진위원회’ 지도위원으로 수배를 받고 있던 박종운을 잡기 위해 연행을 당했다.
 

 

■ 6·10 민중항쟁의 전재 과정
 

취조실에 공안 당국은 박종철에게 박종운의 소재를 물었으나, 박종철은 순순히 대답하지 않았다. 이에 경찰은 잔혹한 폭행과 전기 고문, 물고문 등을 가하였고, 박종철은 끝내 1987년 1월 14일 치안본부 대공 수사단 남영동 분실 509호 조사실에서 사망하게 된다. 

 

11시 45분경 중앙대 용산 병원으로 옮겨졌는데 의사가 검진했을 당시 이미 숨져 있었다. 

 

그러나 당시 정부는 고문으로 사망했다는 사실을 은폐하기 위해 "책상을 탁 치니 억하고 쓰러졌다"고 사망원인을 발표하기에 이르게 된다.


2월 7일 전국 주요 도시에서 '박종철 군 범국민 추도식' 및 도심 시위가 열리고, 이어 3월 3일에는 '박종철 군 49재와 고문 추방 국민대행진'과 함께 또 다른 시위가 벌어진다. 이후 4월 2일 서울대학교 학생들의 학부모 130여 명이 건국대학교 사태 등 시국 관련 구속 학생의 징계 철회를 요구하며 철야 농성을 벌였다. 하지만, 

 

전두환은 그들의 요구를 들어주지 않고 1987년 4월 13일, '대통령 특별 담화'를 통해 차질 없이 대통령 선거를 실시할 수 있도록 모든 노력을 다할 것이라는 호헌조치를 발표했다.
 

▲박종철에세 명예 졸업장 수여를 요구하는 학생들 (사진=연합뉴스)



■ 박종철 고문치사 폭로하다


5월 18일 명동성당에서 광주 항쟁 7주년 미사에 정의구현사제단 김승훈 신부가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이 경찰에 의해 축소·은폐되었음을 폭로하게 된다. 이에 제5공화국 전두환 정권을 비판하던 국민들은 전두환 군사독재정권에 크게 분노하게 되고, 이후 민주화를 요구하는 시위가 전국 곳곳에서 일어났다. 

 

이후 5월 23일 "박종철 고문살인은폐조작규탄 범국민 대회 준비위원회"가 결성, 6월 9일 연세대학교 학생인 이한열이 학교 앞 시위 중 경찰이 쏜 최루탄에 맞아 다시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하게 되었다.
 

항쟁을 막기 위해 전두환은 6만 명의 경찰을 배치했지만, 전국적으로 경찰서 2개소, 파출소 29개소, 민정당 지구 당사 4개소 등이 파괴 또는 방화되었으며 3,467명이 연행되었다. 

하지만 경찰의 원천 봉쇄에도 불구하고 전국 34개 도시와 4개 군에서 130여만 명의 시민과 학생과 시민들은 국민 평화 대행진에 참여하여 경찰이 막을 수조차 없게 된다. 

 

이에 겁을 먹은 노태우는 6월 29일, 국민의 민주화 요구를 잠재우기 위해 대통령 직선제(直選制)로 하는 ‘6·29선언’을 발표한다.
 

▲6·29 선언 발표하는 노태우 대통령 (사진=연합뉴스)

 

 

■ 6·29선언으로 위기를 넘기다
 

1987년 6월 항쟁 직후인 6월 29일에 민주정의당의 대표 노태우가 직선제 개헌 요구를 받아들여 발표한 6·29선언.

 

이 선언은 1.대통령직선제 개헌을 통한 1988년 2월 평화적 정권 이양, 2.대통령선거법 개정을 통한 공정한 경쟁 보장이양, 3.김대중의 사면 복권과 시국관련 사범들의 석방이양, 4.인간존엄성 존중 및 기본 인권 신장이양, 5.자유언론의 창달이양, 6.지방자치 및 교육자치 실시이양, 7.정당의 건전한 활동 보장이양, 8.과감한 사회정화조치의 단행이양 등이다.
 

위기의식을 느낀 노태우는 "대통령직선제 개헌을 통한 1988년 2월 평화적으로 정권을 이양한다. 대통령선거법 개정을 통한 공정한 경쟁 보장하고, 김대중의 사면복권과 시국관련 사범들의 석방, 인간존엄성 존중 및 기본인권 신장, 자유언론의 창달, 지방자치 및 교육자치 실시, 정당의 건전한 활동 보장. 과감한 사회정화조치의 단행한다"는 내용의 6·29선언을 발표하기에 이르게 된다.

순진한 국민들은 일명 ‘속이구 선언’으로 불리는 이 6·29선언으로 승리에 도취해 뜨겁던 여름은 노태우의 당선과 김영삼의 유신 잔당과 3당 야합으로 국민들의 민주화 열망은 역사속으로 사라지고 말았다.


■ 제 9차개헌 현행 헌법의 탄생

우리가 사는 이 땅 대한민국, 우리가 누리고 있는 이 자유와 권리는 저절로 좋아진 것도 우연도 아니다. 

 

위로는 1198년 고려 최충헌의 사노비 만적이 "왕후장상에 어찌 씨가 따로 있겠는가" 왕후장상 영유종호(王侯將相 寧有種乎)를 외치던 천민해방 운동에서부터 1894년 인내천 사상(人乃天 思想)의 실현을 꿈꾸던 동학혁명, 1919년 3·1혁명, 1947년 제주 4·3항쟁, 1960년 4·19혁명, 1979년 부마 민주항쟁, 1987년 6·10 항쟁, 1980년 5·18 광주 민중항쟁에 이르기까지 우리 선열의 불의에 항거해 나라를 지킨 저항정신이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다. 

 

1987년 6·10 민중항쟁으로 쟁취한 제9차 개헌 현행 헌법은 주권자가 주인인 나라를 실현해 모든 국민이 행복추구권을 누리는 민주주의가 실현되고 있는가.

 

[ⓒ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용택 위원
  • 김용택 위원 / 2024-06-29 09:30:03
카톡 기사보내기 https://m.sstpnews.com/news/view/1065572045771428

URL주소가 복사 되었습니다.
이제 원하는 대화방에서 붙여넣기 하세요.

뉴스댓글 >

댓글 7

  • 박재홍님 2024-06-30 07:23:48
    기사잘 읽었습니다
    시사타파뉴스 응원합니다
  • 감동예찬 t.s님 2024-06-29 21:38:06
    정말 잘 읽었습니다. 권력에 눈 이 뒤집혀 민중의 생사를 하찮게 여기는 권력자들이 사라지는 시대는 올까.... 오지않겠지요 ㅠㅠ
  • WINWIN님 2024-06-29 21:11:32
    컬럼 감사합니다
  • 사랑하잼님 2024-06-29 11:39:22
    헉. 민주투사에 대한 민님 (자기)정의 멋지다 요. 순간 요즘 민주투사 유형이 팝업, 예전과 다르다 ~~
  • 사랑하잼님 2024-06-29 11:34:15
    이래저래 흐린 날이지만 그래도 그래도 레몬소다 같이 넘깁니다, 글 감사합니다 ♡


    선생님, 소제목 6.10민주항쟁의 ‘전재’라는 말이 좀 낯설어요. 전개? 전제? 마름질? 모아보기? 한문 취약 세대를 위해 안내 주시면 도움이 되겠어욤
  • 사랑하잼님 2024-06-29 11:33:43
    5월부터 6월 민주화 관련 중요한 달이네요, 했다가 칼럼 읽고 3월부터로 고쳐요. 그때 경찰군부가 지금의 조작검사로 옷만 바꿔 입고 깨춤을 춥니다. ㅠ
    겁먹은 엠비가 깔았던 장갑차들과 도로 폐쇄가 스치네요.. 그런 사악에 눈치 없음까지 더해진 윤 정부.
    노태우의 6.29. 선언 배워 갑니다. 날로 먹은 이양. ‘속이구’ 선언. 그때도 국민 언어유희와 해학이 와!
    불의에 항거한 저항정신, 하아. 87항쟁 이후 헌법 앞으로 가고 있는가, 물
  • 민님 2024-06-29 10:29:39
    민주투사가 따로 만들어 지는 게 아니죠. 내 생각이 잘못 됐을 수 있다 란 생각으로 정부를 조금만 다른 시선으로 바라보고, 잘못된 것을 비판할 수 있다면 그게 바로 민주투사 아니겠어요?!

"함께하는 것이 힘입니다"

시사타파 뉴스 회원이 되어주세요.

부패한 기득권 세력에 맞서 국민들의 알 권리 충족과 진실 전달에 힘쓰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