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임기 중 의류 구입 목적으로 특수활동비 등 국가 예산을 편성하여 사용한 적이 없어
- 사비로 부담. 순방의전과 국제행사용으로 지원받은 의상은 기증하거나 반납
- 대통령비서실의 특수활동비가 공개하기 어렵다는 점을 빌미로 무분별하게 사실과
다르게 주장하는 것에 대해 유감
" 김정숙 여사의 공식 행사 의상과 관련하여 특수활동비 사용 등 근거 없는 주장을 제기하고 있으나, 전혀 사실이 아닙니다."
청와대가 29일 문재인 대통령 부인 김정숙 여사 옷값에 특수활동비를 사용했다는 주장에 대해 “전혀 사실이 아니다”라며 “대통령비서실 특활비가 국방·외교·안보 등 사유로 구체적으로 공개하기 어렵다는 점을 빌미로 무분별하게 사실과 다르게 주장하는 것에 대해 유감스럽게 생각한다”며 “국가 간 정상회담, 국빈 해외 방문, 외빈 초청 행사 등 공식 활동 수행 시 국가원수 및 영부인으로서의 외교 활동을 위한 의전 비용은 행사 부대 비용으로 엄격한 내부 절차에 따라 필요 최소한의 수준에서 예산을 일부 지원하고 있다”고 밝혔다.
![]() |
▲김정숙 여사, 인티사르 알시시 이집트 영부인과 차담 2022-01-21 |
신 부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김 여사의 공식 행사 의상과 관련해 특활비 사용 등 근거 없는 주장을 제기하고 있다”면서 이같이 반박했다.
“임기 중 대통령 배우자로서 의류 구입 목적으로 특활비 등 국가 예산을 편성해 사용한 적이 없고, 사비로 부담했다”며 “순방 의전과 국제행사용으로 지원받은 의상은 기증하거나 반납했다”고 밝혔다.
“대통령비서실 특활비가 국방·외교·안보 등 사유로 구체적으로 공개하기 어렵다는 점을 빌미로 무분별하게 사실과 다르게 주장하는 것에 대해 유감스럽게 생각한다”며 “국가 간 정상회담, 국빈 해외 방문, 외빈 초청 행사 등 공식 활동 수행 시 국가원수 및 영부인으로서의 외교 활동을 위한 의전 비용은 행사 부대 비용으로 엄격한 내부 절차에 따라 필요 최소한의 수준에서 예산을 일부 지원하고 있다”고 밝혔다.
청와대는 이러한 ‘의전 비용’에도 의상비는 포함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김 여사가 사비로 부담한 의상비를 공개할 이유는 없다고 밝혔다.
청와대는 의상을 지원받는 일부 사례들을 공개했다.
2018년 프랑스 국빈 방문 때는 한글이 새겨진 한복을 명품 브랜드 샤넬이 김 여사에게 빌려줬다. 김 여사가 반납한 이 옷은 샤넬 측이 국립한글박물관에 기증해 전시 중이다.
‘2021 P4G 서울 녹색미래 정상회의’에서 김 여사가 착용한 한복은 환경부가 행사 취지에 맞춰 페트병을 재활용해 만든 것으로, 김 여사는 행사 참석 후 이를 주최 측에 반납했다.
최근 불거진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김 여사가 명품 브랜드 까르띠에의 2억원대 브로치를 착용했다는 주장에 야권과 일부 언론까지 가세했다.지난 2월, 법원이 한국납세자연맹의 정보공개청구에 따라 청와대 특수활동비와 김 여사 의전 비용을 공개하라고 판결했으나 이달 2일 청와대가 항소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브로치 회사 측에서도 2억원짜리 자사 브로치가 아니라고 확인해 준 것으로 봤다”며 다만 허위 사실 유포에 대한 법적 조치는 “현재로서는 검토한 것은 없다”고 밝혔다.
[ⓒ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