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행 전 여가부장관 후보자 (사진=연합뉴스) |
야권은 한 목소리로 김행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자진해 사퇴한 것을 두고 '사필귀정'이라고 밝혔다.
민주당 강선우 대변인은 "김 후보자는 애초부터 국무위원 후보자가 되면 안 되는 인사였다"며 "마지못해 물러나는 김 후보자 사퇴의 변 역시 천박함의 극치"라고 지적했다.
강 대변인은 '선당후사의 자세로 사퇴를 결심했다'는 김 후보자의 입장을 두고도 "대통령과 국민의힘에게만 미안합니까? 여성가족부 장관이 국민의힘 당직인 줄 아십니까?"라고 김 전 후보자의 발언을 문제삼았다.
강 대변인은 전날 민주당이 승리한 서울 강서구청장 보궐선거 결과를 언급하며 "이번 선거에서 터져 나온 민심이 아니었다면 김 후보자는 끝까지 버텼을 것이고, 윤석열 대통령은 임명을 강행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사퇴로 면죄부가 생길 것이라 생각하지 말라"며 "주식 파킹, 일감 몰아주기, 코인 투자 등 그간 제기된 의혹에 한 점 부끄러움이 없는지 사법적 판단을 받아라"라고 했다.
그러면서 "윤 대통령도 더 이상 독선 인사로 국민의 인내심을 시험하지 말라"고 덧붙였다.
정의당 역시 고위공직자 인사 검증을 담당하는 인사정보관리단이 있는 법무부 책임론을 제기했다.
정의당 강은미 원내대변인은 "법무부 인사 검증 기능이 파산한 게 아니라면 국회와 국민에게 오기를 부리는 것"이라며 "김 후보자를 포함해 인사 검증 실패의 책임자는 한동훈 법무부 장관"이라고 밝혔다.
한동훈 법무부 장관은 인사검증 실패에 대한 책임 추궁에 법무부 인사정보관리단은 “기계적으로 자료를 수집해 대통령실에 넘기는 역할만 한다”며 발뺌한 바 있다.
그러나 한 장관은 "폐지된 민정수석실을 대신해 신설된 인사정보관리단을 통해 인사검증의 투명성과 책임성을 높이겠다"고 밝혔기에 책임 논쟁에서 벗어나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민주당은 "인사책임을 대통령실로 넘길 것이라면 차라리 민정수석실을 부활하라"고 주장했다.
[ⓒ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