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도 응급실 어려움 있다 생각…'붕괴 직전'은 과도한 주장"
![]() |
▲대학병원의 응급진료센터 모습 (사진=연합뉴스) |
대통령실이 6일 '여·야·의·정 협의체'에 의료계의 참여를 당부하면서 2천명 의대 정원 증원 방침에 얽매이지 않고 합리적인 방안을 논의할 수 있다고 밝혔다.
장상윤 사회수석비서관은 이날 YTN 방송에 출연해 "여야의정 협의체가 구성되고, 여기에 의료계 대표가 나와서 합리적인 안을 제시하면 충분히 논의가 가능하다"고 말했다.
장 수석은 "저희가 제안한 2천명이란 숫자에 구애되지 않고 합리적 안을 가져오면 논의한다는 방침"이라며 "특히 집단행동으로 의료계에서 이탈한 전공의, 의대생들의 목소리를 대변할 수 있는 분들이 협의체에 들어왔으면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정부가 출범하기로 한 의료인력 수급 추계·조정 논의기구와 여야의정 협의체를 서로 연계해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한 응급 의료 현장에 대해서는 "정부도 현장에 어려움이 있다고 생각한다"고 장 수석은 밝혔다.
다만, 장 수석은 "이게 붕괴 직전이라든지, 이제 곧 마비가 된다, 그렇게 표현하는 건 너무 과도한 주장"이라며 "긴장감을 갖고 총력을 다한다면 넘어설 수 있다, 이겨나갈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장 수석은 "지금 상황이 전공의들이 이탈하면서 조금 더 어려워진 건 사실이지만, 그렇다고 다시 증원을 취소하고 예전으로 돌아가자고 그러면 근원적으로 이 문제를 해소하는 방법은 아니라고 본다"고 강조했다.
앞서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는 의대 증원을 포함한 의료 개혁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여야의정 협의체를 야당과 의료계에 공식 제안했다.
이와 관련, 대통령실은 2026년 증원 규모를 조정할 수 있으며 협의체도 구성할 수 있다는 입장인 것으로 전해졌다.
![]() |
▲고대 안암병원 찾은 이재명 대표 (사진=연합뉴스) |
한편, 더불어민주당은 정부와 국민의힘이 2026년 의대 증원 규모 조정 가능성을 시사하며 여·야·의·정 협의체 구성을 제안한 데 대해 "늦었지만 다행이다. 협의체를 즉시 가동하자"며 협의체 구성에 동의했다.
노종면 원내대변인은 서면브리핑에서 "국민의힘은 이제라도 용산 눈치 보지 말고 의료 붕괴를 막을 실질적인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노 원내대변인은 "협의체를 통한 의료대란 대응은 윤 대통령과 정부의 책임 추궁과 전혀 별개다. 수세에 몰린 정부와 여당의 이슈 물타기, 시간 끌기 가능성에 철저히 대비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