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윙 스테이트' 충청권에서도 與-민주 초접전…강원도 일부 혼전
![]() |
▲한동훈 비대위원장과 이재명 대표 (사진=연합뉴스) |
4·10 총선이 열흘 앞으로 다가왔지만 주요 격전지 판세는 혼전에 혼전을 거듭하고 있다.
31일 현재 국민의힘은 전체 254개 지역구 가운데 '74∼82곳', 더불어민주당은 '110곳+α'의 승리를 예상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양당 후보 간 접전이 예상되는 '경합' 지역 분류에서는 국민의힘이 50곳, 민주당이 60여곳 안팎으로 전체 지역구의 25%에서 양당 모두 승리를 확신하지 못하고 있다.
국민의힘 선대위 관계자는 "경합지가 많다는 것은 곧 '아직 해볼 만한 지역이 많다'는 의미"라며 "일시적 상황으로 판세가 불리하게 계산되는 곳도 있지만, 후보 개개인이 경쟁력이 있는 만큼 충분히 반전 가능하다"고 말했다.
민주당 선대위 관계자는 "지금 시점에서는 확실하게 이기는 지역과 확실하게 지는 지역만 빼면 다 경합이라고 보면 된다"면서 수도권과 '낙동강 벨트' 중심으로 백중세가 나타나고 있다. 남은 2주간 무슨 일이 있을지 모르기 때문에 언제든 바뀔 수 있다"고 말했다.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에 등록된 지역구 여론조사 결과를 취합·분석한 결과, 경합 지역 중 5%포인트(p) 이내 격차로 '초박빙' 접전을 보이는 곳도 상당수로 나타났다.
결국 이들 초박빙 지역의 결과에 따라 총선 승패가 갈릴 것이라는 게 정치권의 공통된 관측이다.
수도권은 여야가 사활을 건 승부를 펼치고 있는 만큼 곳곳에서 혼전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
서울 '한강 벨트'와 경기권의 '반도체 벨트', '서울 편입권'에 이르기까지 막판까지 판세를 예측하기가 쉽지 않은 곳이다.
서울의 경우 '한강 벨트' 지역구 중 한 곳인 동작을에서 4선 경력의 국민의힘 나경원 후보와 경찰 출신의 정치 신인 민주당 류삼영 후보가 접전을 벌이고 있다.
경기에서도 서울과 인접한 성남 분당갑·을이 박빙이다.
분당갑은 국민의힘 현역 의원 안철수 후보와 강원도지사 출신인 민주당 이광재 후보가, 분당을은 대통령실 출신 국민의힘 김은혜 후보와 민주당 현역 의원인 김병욱 후보가 맞붙어 주목받는 곳이다.
'교수 대 교수' 대결이 벌어진 수원정에서는 국민의힘 이수정 후보와 민주당 김준혁 후보가 초박빙 대결을 진행중이다.
충청에서도 여러 지역이 혼전 중이다.
'세 번째 리턴매치' 지역인 충남 공주·부여·청양군에서는 6선에 도전하는 국민의힘 정진석 후보와 문재인정부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을 지낸 민주당 박수현 후보가, 현역인 국민의힘 홍문표 의원이 불출마한 홍성·예산에선 대통령실 참모 출신의 국민의힘 강승규 후보와 충남도지사를 지낸 민주당 양승조 후보가 접전 중이다.
역대 총선에서 민주당이 연승을 거둔 충북 청주청원과 청주서원은 각각 국민의힘 김수민 후보와 민주당 송재봉 후보, 국민의힘 김진모 후보와 민주당 이광희 후보가 박빙 양상이다.
'낙동강 벨트'를 교두보 삼아 PK에서 '7석+α'를 노리는 민주당과, 텃밭을 사수하려는 국민의힘 간 경쟁 역시 치열하다.
합구로 현역 의원이 맞붙게 된 부산 남구는 국민의힘 박수영 후보와 민주당 박재호 후보가 접전 중이라는 결과가 나왔다.
부산 북을 국민의힘 박성훈 후보와 민주당 정명희 후보도, 또 부산 강서 국민의힘 김도읍 후보와 민주당 변성완 후보도 예상외로 접전을 벌이고 있다.
이번 총선 영남권 최대 격전지로 꼽히는 경남 양산을의 경우 전직 경남지사 둘의 맞대결로 관심을 끌고 있다.
[ⓒ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