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국민의힘 김기현 대표, 인요한 혁신위원장 |
"당사자들이 국민 눈높이에 맞는 응답을 할 여지는 남아 있지만, 최고위에서 의결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 (국민의힘 고위관계자)
인요한 국민의힘 혁신위원장이 지도부·중진·친윤 의원들의 불출마 혹은 지역구 내려놓기 등의 '희생'을 요구하며 지도부에 제안하는 '배수진'을 쳤지만 무위로 끝날 것으로 보인다.
김기현 대표를 위시한 지도부는 현 체제를 중심으로 한 총선 채비를 본격화하고 나섰고 당 안팎에서는 이 같은 요구가 받아들여질 가능성을 희박하게 보고 있다.
당장, 인 위원장의 공간위원장 추천 요구를 김 대표가 즉각 거부했다.
개인 거취 문제를 당 지도부가 의결해서 강요할 사안이 아니라는 것이다.
익명을 요구한 당 관계자는 "당사자들이 국민 눈높이에 맞는 응답을 할 여지는 남아 있지만 최고위에서 의결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말했다.
이어 "당장 몇 번의 총선을 되돌아보더라도 출신 지역을 떠나 수도권으로 옮겼던 의원들이 생환율이 0에 수렴되는데, '대 놓고 딴 지역 가서 정치 생명 끝내라'라는 주장을 어떻게 할 수 있느냐"며 "인 위원장은 현실 정치를 몰라도 너무 모른다"라고 말했다.
그러나 인 혁신위원장은 주류 희생을 요구한 혁신안을 최고위원회에서 논의하고 4일까지 답을 달라고 요청하면서 혁신위 조기 해산까지 함께 시사한 바 있다.
공관위원장 요청 요구는 이미 거부됐고 희생 요구안까지 거부된다면 혁신위는 조기 해산 수순에 들어갈 수도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 |
▲국민의힘 최고위원회 (사진=연합뉴스) |
한편, 당 지도부는 혁신안의 취지나 정신은 존중하지만, 조기 해산이 현실화하더라도 현 지도부가 흔들릴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여기는 분위기다.
전권을 주며 임명한 인요한 혁신위원장의 '입'이 어떤 비수를 던질지 조금하는 분위기이지만, 결국 당과 최고위에 부담이 되는 발언은 자제할 것이라는 판단이다.
지도부는 오히려 지금 같은 상황에서는 혁신위와 갈등으로 인한 잡음을 해소하는 데 집중해야 총선 준비에 매진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지도부는 정기국회가 끝나면 현역 컷오프와 인재 영입, 공약 개발 작업 등 총선 준비 작업이 급속도로 빨라질 것으로 내다봤다.
이르면 이달 중순 출범하는 공천관리위원회는 당무감사 결과와 총선기획단의 평가 지표 등을 넘겨받아 지역구별 '대표선수 선발'에 착수할 예정이다.
인재영입위원회의 영입 인사 발표도 이번 주부터 시작된다. 영입위는 이수정 경기대 범죄심리학과 교수 등 다양한 인사를 동시다발적으로 접촉해 '새 얼굴' 공개를 준비하고 있다.
[ⓒ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