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연합뉴스) |
내과, 외과, 신경과, 정형외과, 흉부외과… 병원의 진료과목은 수없이 많다. 내과만 보더라도 감염내과, 내분비내과, 류마티스내과, 순환기내과, 신장내과, 알레르기내과, 혈액종양내과, 호흡기내과 등 세분화돼 있다. 하지만 아무리 의사라도 자기 전공 분야가 아니면 다른 과의 진료를 할 수 없다. 환자 입장에서는 증상이 나타났을 때 어떤 과를 찾아가야 할지조차 헷갈리는 경우가 많다.
주치의 제도란?
마른기침이 오래가는데 큰 병원에 가야 할지, 허리가 아픈데 어떤 과를 가야 할지, 고혈압 약을 먹는 중에 건강보조제를 함께 먹어도 되는지…. 대부분의 사람은 이를 합리적으로 판단할 의학 지식이 부족하다. 또 올바른 생활습관과 투약 관리를 지도해줄 사회적 지지망도 취약하다.
‘주치의 제도’는 바로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환자가 의료체계 안에서 길을 잃지 않도록 내비게이터 역할을 하고, 건강 문제를 최전선에서 걸러내는 문지기 구실을 하며, 사람 중심의 전인적 돌봄을 제공하는 방식이다. 쉽게 말해 동네 병원 의사를 주치의로 정해 평생 건강관리를 맡기는 제도다.
해외 사례와 한국의 현실
쿠바처럼 사회주의 국가만이 아니라 미국, 영국, 네덜란드, 스웨덴, 프랑스 등 주요 선진국 상당수가 이미 주치의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특히 OECD 36개국 중 20여 개 나라가 제도를 통해 의료 효율성과 국민 건강 증진 효과를 얻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과거 대통령에게만 주치의가 지정돼 국가 차원에서 건강을 관리해왔다. 하지만 일반 국민에게는 아직 ‘그림의 떡’이다. 지금도 많은 환자들이 증상을 키운 뒤에야 전문의를 찾아가고, 때로는 오진과 과잉진료, 정보 부족으로 피해를 입는다.
이재명 정부와 주치의제
이재명 대통령은 대선 후보 시절부터 의료 불평등 해소와 국가 돌봄 확대를 국정철학으로 내세웠다. 특히 ‘전국민 주치의제’ 도입을 약속하며, 대통령에게만 있는 주치의 제도를 국민 모두에게 확대하겠다고 강조한 바 있다. 하지만 정권 출범 이후 아직 구체적인 로드맵은 제시되지 않았다.
의료 현장에서는 고령화, 만성질환 관리, 지방 의료 공백 등 점점 커지는 문제를 해결하려면 주치의 제도 도입 논의가 더는 늦춰져선 안 된다는 지적이 나온다. 몇 시간을 기다려 5분 남짓 의사를 만나야 하는 환자들의 현실, 그리고 과잉진료 피해로 이어지는 구조를 바꾸기 위해서라도 주치의 제도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쿠바의 사례에서 배우는 점
의료 선진국으로 꼽히는 쿠바는 ‘패밀리 닥터’ 제도를 중심으로 1차, 2차, 3차 의료기관을 단계적으로 운영한다. 기초의료와 예방의학에 집중하면서도 첨단 의료기술과 백신 산업까지 발전시켜 외화까지 벌어들이는 구조다. 이는 상업주의에 갇힌 한국의 의료 현실과 대조된다.
[ⓒ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