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의료개혁 흔들림 없다"…의대교수 "사직·휴진" 압박

의대교수들 '주 1회 휴진' 발표 잇따라…서울의대 교수 4명 사직 발표
▲연세 암병원 풍경 (사진=연합뉴스)

 

전공의 집단이탈로 의료공백이 이어지는 가운데 의대 교수들이 '의대증원 추진 백지화'를 주장하며 사직과 휴진을 예고해 더 큰 혼란이 우려된다.
 

24일 정부와 의료계 등에 따르면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서울대병원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오는 30일 하루 응급·중증·입원 환자를 제외한 분야의 진료를 전면 중단한다고 밝혔다.

비대위는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들은 3월 25일부터 사직서를 제출하고 있다"며 "개별 교수의 제출일로부터 30일이 지난 시점부터 개인의 선택에 따라 사직을 실행한다"고 말하기도 했다.

의대교수 단체들은 민법 규정에 따라 사직서를 제출한 지 30일이 되면 사직 효력이 발생한다며 오는 25일부터 사직이 현실화할 것이라고 압박한다. 

 

서울의대 비대위는 이날 수뇌부 4명이 다음 달 1일 사직한다고 밝혔다.

서울아산병원을 수련병원으로 둔 울산의대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 역시 전날 다음 달 3일부터 주 1회 휴진 방침을 밝히며, 오는 25일부터 예약된 진료와 수술 상황에 맞춰 사직을 진행한다는 입장이다.

'빅5'로 불리는 서울시내 주요 대형병원 중 서울대병원과 서울아산병원에 이어 세브란스병원, 서울성모병원, 삼성서울병원 등 나머지 병원도 휴진에 동참할 가능성이 크다. 

 

이들 병원을 수련병원으로 둔 의대는 서울대·연세대·가톨릭대·울산대·성균관대 등 5곳이다.

성균관대 의대를 제외한 의대 4곳이 전국의과대학교수 비상대책위원회(전의비)에 참여하고 있는데, 전의비는 전날 총회에서 각 병원 상황에 맞춰 다음 주 중 하루 휴진하기로 결정했다.

연세의대 교수 비대위는 이날 오후 임시 전체교수회의를 열어 전의비에서 결정된 사항 등을 논의한 결과, 오는 30일 하루 자율적으로 휴진하기로 했다. 날짜는 정하되 참여 여부는 교수들의 자율적인 선택에 맡기기로 했다.

오는 26일 사직서를 제출하는 가톨릭의대 교수들도 일주일에 하루 휴진하는 방안을 내부 검토 중이다.

성균관의대 비대위는 이날 교수들에게 일주일에 하루 휴진일을 정하라는 내용을 담은 적정 근무 권고안을 배포했다.

성균관의대 비대위는 "주 52시간 근무시간을 지켜달라"며 "근무시간 초과로 피로가 누적된 교수는 주 1회 외래 및 시술, 수술 등 진료 없는 날을 휴진일로 정해 휴식을 가져 달라"고 권했다.

이로써 서울시내 주요 대형병원 5곳이 모두 일주일에 하루는 진료를 멈출 가능성이 있다. 다만 응급·중증·입원 환자에 대한 진료는 그대로 유지된다.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브리핑 모습 (사진=연합뉴스)

 

한편, 정부는 "백지화는 대안이 아니다"며 흔들림 없는 의료개혁을 강조하고 있어 의정 갈등은 진정되기는커녕 확산일로를 걷고 있다.

 

정부는 의대 교수들의 주 1회 휴진 움직임에 유감을 표명하는 한편, '25일 사직 효력 발생' 주장에 대해 무책임하다고 비판했다.

박민수 보건복지부 2차관은 이날 브리핑에서 "전국의과대학교수 비상대책위원회에서 주 1회 휴진하겠다는 결정을 내리고, 일부 교수들이 예정대로 사직을 진행한다고 표명한 데 대해 유감의 뜻을 밝힌다"고 말했다.

그는 "병원 차원에서 휴진이 되려면 병원장의 승낙하에 조정이 돼야 하는데, 아직 그 단계까지는 가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다"며 "현장에서 얼마만큼 의료 공백을 일으킬 만한 사안인지는 좀 더 면밀히 지켜보겠다"고 했다.

박 차관은 의대 교수들이 오는 25일 사직서 제출 한 달이 돼 자동으로 사직 효력이 발생한다고 주장하는 것과 관련해서는 "일률적으로 사직 효력이 발생한다고 볼 수 없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오는 25일 기준으로 사직서 수리 예정인 의대 교수 사례가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고 강조했지만, 일부 언론에서는 지난달 25일부터 이날까지 대학 총장이나 병원장에게 사직서를 낸 교수가 전체의 약 7% 규모인 800여명이라는 보도도 나왔다.

의료계가 주장하는 '의대증원 백지화' 요구에 대해서는 "국민의 기대에 반하는 것이며 어렵게 출발한 의료개혁을 무산시키는 것으로 정부가 선택할 수 있는 대안이 아니다"고 잘라 말하며 "의료개혁을 흔들림 없이 완수해 국민의 건강을 지키는 헌법적 책무를 다하겠다"고 밝혔다.

의대교수 단체들과 의협,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 등 의사단체들은 대화의 조건으로 '의대 증원 백지화'를 내세우고 있다.

의협은 "적어도 전공의들에게 내려진 부당한 행정명령의 취하와 증원 과정을 멈추는 것이 대화의 자리로 이끄는 정부의 최소한의 성의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부의 대화 제의에 대해서는 "전공의, 학생을 배제한 대화는 의미가 없다. 이를 대화 거부라고 이야기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라고 비판했다.


비상진료 상황을 두 달 넘게 참고 있는 환자들은 자신을 치료해주는 교수들마저 병원을 떠날지, 진료를 받기가 더 어려워질지 전전긍긍하고 있는 상황에서 의정갈등은 해결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어 안타까움을 더한다.

 

[ⓒ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황윤미 기자 / 2024-04-25 07:40:22
카톡 기사보내기 https://m.sstpnews.com/news/view/1065550252658331

URL주소가 복사 되었습니다.
이제 원하는 대화방에서 붙여넣기 하세요.

뉴스댓글 >

댓글 7

  • 개테라테내스퇄님 2024-04-26 02:30:21
    아직도 해결이...
    아는 게있어야 결단을 내리지않나? 이런상모지리를 누가 누가 찍어주었을까
  • 감동예찬 t.s님 2024-04-25 22:44:42
    천공이 밀고나가라 하더나?
  • j여니님 2024-04-25 12:36:59
    국가 최고지휘자가 무모한 벽창호 무식하고 무능해서
    나라를 이렇게 망치고 있네요 ㅠㅠ
    국민 생명을 제마음대로 장난치는 짐승보다 못한 늠
  • 민님 2024-04-25 08:30:50
    다 흔들리는데 정부만 흔들림 없으면 뭐 해?
  • WINWIN님 2024-04-25 07:56:14
    기사 감사합니다
  • 김연희님 2024-04-25 07:55:12
    잘 협의 해서 의사들을 복직 시켜야지 ㅜ,,ㅜ
    대통령인 작자가 뭔일을 저때 위로 하는지
  • 달여울님 2024-04-25 07:46:07
    황윤미기자님 수고 많으십니다

"함께하는 것이 힘입니다"

시사타파 뉴스 회원이 되어주세요.

부패한 기득권 세력에 맞서 국민들의 알 권리 충족과 진실 전달에 힘쓰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