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KBS 당대표 토론회 모습 (사진=연합뉴스) |
더불어민주당 대표 경선에 출마한 이재명 후보와 김두관 후보가 두 번째 방송토론회에서 이 후보의 대표직 연임을 두고 신경전을 벌였다.
김두관 후보는 24일 밤 KBS TV를 통해 방송된 토론회에서 "제왕적 대표로는 미래가 없다"며 '이재명 일극 체제'에 우려를 표했다.
그러면서 김 후보는 "이 후보의 리더십은 중도층이 우리 당에 오는 걸 막는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며 "이렇게 해서 어떻게 지방선거와 대선에서 승리할 수 있을지 의심이 든다"고 비판했다.
아울러 김 후보는 "공천이야말로 공정성과 투명성이 확실하게 담보돼야 한다"며 "지난 22대 공천 과정에서 임종석 전 청와대 비서실장, 박용진 전 민주당 의원, 이런 분들은 공천에서 탈락했는데 명확히 그 이유를 설명해 주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김 후보는 "박용진 전 의원은 21대 국회에서 같이 활동했는데 적어도 의정활동과 입법활동에서 상위 10%에 해당되는 분으로 안다"며 "그런데 선출직 공직자 평가에서 하위 10%에 해당돼 탈락했다"고 문제를 제기했다.
또 자신이 대표가 되면 "지난 민주당 공천 과정은 '친명횡재, 비명횡사'란 비판을 받았다"며 "그런 일이 절대 없도록 공천제도를 혁신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재명 후보는 김 후보의 일극체제 주장에 '당원 중심 대중 정당'을 강조하는 방식으로 정면 대응을 피했다.
이 후보는 "민주당에서 가장 큰 과제는 민주주의의 원리를 회복하는 것"이라며 "민주공화국을 떠받치는 제도가 정당 제도고 우리 민주당이 중심에 있다. 그래서 우리는 당원 중심의 민주적 대중 정당을 지향한다"고 밝혔다.
또한 최고위원 후보들의 친명 마케팅에 대해서도 '충성 경쟁'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지지율이 너무 높다 보니까 그런 말씀을 하시는 것 같다. 최고위원 후보들도 당원과 국민들 민주당을 지지하는 국민들의 선택을 받기 위한 수단으로 하는 거 아니겠느냐"고 답했다.
그러자 김 후보는 "제가 개인적으로 불편한 게 아니라 당의 미래와 관련해서 많이 불편했다"고 되물었고, 이 후보는 "많은 지지를 받는 분들이 많으면, 다양화됐으면 좋은데 인위적으로 될 수는 없다"고 맞받았다.
두 후보는 최근 당내에서 논쟁이 벌어진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금융투자소득세 유예를 두고도 입장 차이를 보였다.
김 후보는 "이 후보가 말하는 서민의 먹고 사는 문제를 해결하려면 많은 예산과 재원이 필요한데 종부세 완화와 금투세 유예 같은 부자 감세를 말해 놀랐다"며 "동의가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 후보는 "조세는 국가 재원을 마련하는 수단이지, 개인에게 징벌을 가하는 수단이 아니"라며 "실거주 1주택에 대해서는 세금을 대폭 완화하고, 대신 대지·임야·건물 등에 대한 세금을 올리면 균형을 맞출 수 있다"고 밝혔다.
이 후보는 탄핵과 개헌을 통한 윤 대통령 임기 단축에 대해서도 입장을 밝혔다.
이 후보는 "먹고 살기 어려운 데다 비민주적 난폭한 국정 때문에 국민이 힘드니까 임기 전에라도 바꿔야 하지 않겠냐는 생각을 많이 하게 된 것 같다"며 "저는 임기 단축을 통한 4년 중임제 개헌을 대선 때 공약했고 실제 제가 대통령이 되면 임기 1년을 포기하고 개헌할 생각이었다"고 말했다.
이어 '대통령 탄핵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김 후보의 물음에는 "탄핵 문제는 당이 결정할 일은 못되고 결국 국민이 결정할 사안"이라고 덧붙였다.
[ⓒ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