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고용률 하락, 실업률 상승…청년층 사회 진입 어려움 심화
![]() |
▲ 청년취업박람회 (사진=연합뉴스) |
한국 사회에서 20대 인구가 처음으로 70대 이상 노령층보다 적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저출산과 고령화가 맞물리며 세대 구조 전환이 본격화하고 있다는 신호로 풀이된다.
12일 국가데이터처 인구주택총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20대 인구는 630만2천 명으로 전년 대비 19만3천 명 줄었다. 같은 기간 70대 이상 인구는 654만3천 명으로, 20대보다 약 24만 명 많았다. 20대가 70대 이상보다 적어진 것은 1925년 통계 작성 이후 처음이다.
2020년 703만 명으로 정점을 찍었던 20대 인구는 4년 연속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으며, 연평균 14만~21만 명 수준으로 줄어들고 있다. 지난해 연령대별 인구를 보면 50대가 871만 명으로 가장 많았고, 40대 780만 명, 60대 779만 명, 70대 이상 654만 명 순이었다. 20대는 성인 연령대 중 가장 소수 세대로 전락했다.
인구 감소는 노동시장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올해 8월 기준 20대 고용률은 60.5%로 1년 전보다 1.2%포인트 하락했고, 실업률은 5.0%로 상승했다. 대기업에서 경력직 중심 채용이 늘고 제조업과 건설업 경기 부진, 공공부문 일자리 감소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청년층의 사회 진입이 어려워지고 있다.
김광석 한국경제산업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20대 인구 감소와 고용난은 단순 세대 문제가 아니라 경제 활력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며 “청년층의 사회 진입 지연은 장기적으로 저출산과 내수 부진, 성장 둔화로 연결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전문가들은 청년층이 사회·경제 활동에서 역할을 찾기 어렵다면 결혼과 출산을 미루는 경향이 강화돼, 한국 사회의 저출산·고령화 구조가 더욱 심화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