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백서 특위 발언하는 조정훈 위원장 (사진=연합뉴스) 국민의힘 총선백서특별위원회가 4·10총선백서 초안에 '김건희 여사 문자 무시 논란'을 비롯한 당정 관계 문제를 총선 패배 요인으로 지적했다.
이와 함께 '이조(이재명-조국) 심판론'에 집중했던 선거 캠페인, 비례대표 공천 번복 등을 패인으로 꼽은 것으로 전해졌다.
특위는 14일 국회에서 마지막 회의를 열어 이 같은 내용이 담긴 백서 초안을 위원 전원 찬성으로 의결했다. 백서는 당 최고의결기구인 최고위원회 의결을 거쳐 발간될 예정이다.
총선 직후 활동을 시작한 특위는 당초 6월 말에서 7월 초 사이 백서를 발간할 계획이었지만, 특위가 '한동훈 책임론'을 부각한다는 지적이 나오면서 발간 작업이 미뤄졌다.
7·23 전당대회 국면에서 백서 발간 시점과 내용을 두고 친윤(친윤석열)계와 친한(친한동훈)계 간 충돌 양상이 빚어졌던 만큼, 최고위가 백서 의결을 논의하는 과정에서 이 같은 갈등이 되풀이될 가능성도 있다.
조 위원장은 '최고위 의결에 문제가 없겠느냐'는 질문에 "(당이) 1인 지도체제는 아니다"라며 "최고위가 특위 의견을 존중해주는 게 맞지 않겠나"라고 말했다. 조정훈 특위 위원장은 브리핑에서 "총선 패배는 특정 인물, 특정 기능 하나 때문이 아니라 복합적 원인이 있다는 것이 위원들의 공통 의견"이라고 밝혔다.
백서 초안은 당정관계와 관련, '이종섭-황상무 논란'과 의대 증원, 김건희 여사의 명품백 수수 의혹 등 총선 국면에서 불거진 잇단 악재에 당정 간 소통이 부족했다고 지적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과정에서 김 여사 문자 논란도 거론됐다.
해당 논란은 지난 1월 김 여사가 명품백 수수 의혹을 놓고 대국민 사과를 하겠다는 뜻을 당시 비상대책위원장이던 한 대표에게 텔레그램 메시지로 전달했지만 한 대표가 이를 묵살했다는 내용이다.
조 위원장은 '김여사 문자 무시 논란'에 대해 "(백서에) 적절한 분량을 충분히 할애했다"고 했다.
이와 함께 당 차원의 '이조 심판론' 전략, 비례대표 공천 결과 및 명단 번복, 여의도연구원의 여론조사를 통한 선거 지원 부족 등이 패인으로 포함됐다고 한다.
다만 백서를 기술할 때 총선 당시 당 비상대책위원장으로서 선거 캠페인을 지휘한 한동훈 대표를 직접 주어로 삼지는 않았다고 특위 관계자들이 전했다.
패인 등을 분석하면서 '국민의힘'을 주어로 해 특정 개인이 아닌 당 차원의 책임을 강조했다는 것이다.
백서는 약 300쪽 분량으로, 지난 5월 국민의힘 총선 출마자, 당 사무처 직원, 국회의원 보좌진, 출입기자단을 대상으로 실시한 온라인 설문조사 결과도 담겼다.
설문 항목 중에서 '비례대표 공천'에 대한 평가가 10점 만점에 2점으로 가장 저조한 점수를 받았다.
|
[ⓒ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