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일 조계사에서 열린 부처님오신날 봉축법요식에서 한덕수 무소속 대선 예비후보와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 (사진=연합뉴스)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 후보와 한덕수 예비후보 측이 대선 후보 단일화를 위한 협상을 재개했지만, 여론조사 방식에 대한 이견을 좁히지 못하며 또다시 결렬됐다.
10일 오후 7시경 국회에서 열린 양측의 단일화 실무 협상은 불과 40여 분 만에 중단됐다. 김 후보 측은 이날 회의에서 당 중진들의 중재안을 바탕으로 ‘역선택 방지 조항’을 절반만 반영하는 ‘100% 일반국민 여론조사’ 방식을 제안했다. 그러나 한 후보 측은 이에 반대하며 ‘K-보팅 시스템’을 활용한 전 당원 투표를 역제안했다.
김 후보 측 김재원 비서실장은 기자들과 만나 “나경원·박대출 의원 등이 역선택 방지 조항을 절반만 반영하는 방안을 제시하며 간곡한 타협을 요청해 이 자리에 나왔다”며 “이미 한 후보로 국민의힘 후보 교체 관련 당원 찬반 ARS 투표가 진행 중이다. 사전에 한덕수라는 이름으로 당원에게 홍보하고 내일 또 투표하면 그게 공정한가”라고 반문했다
반면, 한 후보 측 윤기찬 정책대변인은 “무소속일 때와는 다른 방식의 결정이 필요하며 가장 공정한 방식은 전 당원의 의사를 직접 확인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또 “김 후보 측이 한 후보의 늦은 입당을 문제 삼은 만큼 정치적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라도 전 당원 투표는 마다할 이유가 없다”고 반박했다.
이어 김 후보 측이 제안한 50% 역선택 방지 여론조사와 관련 “본투표에서 민주당을 찍거나 역선택을 의도하는 분이 있다면 국민의힘 대통령 후보자를 추천하는 과정에서 그런 의사가 반영되는 건 있을 수 없다”말하고 “100% 방지 50% 방지는 본질적으로 차이가 없다”고 주장했다. |
[ⓒ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