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기에 1군단 간부는 소속 회관병들을 입단속했다는 의혹도 제기됐다.
▲장어구이 세팅 계획도.(사진=군인권센터) 특별대우를 받는 군단장 등 고위급 간부들은 백마회관과 마찬가지로 자신의 손님이 오면 메뉴판에 없는 복어지리탕, 꽃게탕, 낙지탕탕이, 전복샐러드, 장어 등을 내올 것을 주문하였으며, 일반 손님들에게는 나가지 않는 후식과 회관에서 팔지 않는 막걸리, 와인 등의 주류도 지휘관의 요구에 따라 준비해두기도 했다. 군인권센터는 "병사들이 조리를 하기 때문에 인건비가 들지 않아 바깥 식당보다 훨씬 저렴한 가격에 대접까지 받으면서 먹고 싶은 음식을 먹을 수 있다는 점은 고위급 간부들이 회관을 사적으로 이용하는 주요한 이유"라며 "장병 복지 혜택을 위해 세금으로 회관을 지어 놓고 병사들을 공짜 인력으로 부리며 고위급 접대용 식당으로 활용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더욱 큰 문제는 '입단속'이라고 군인권센터는 지적했다. 당시 회관 관리관은 감찰 1시간 전 회관병을 집합시켜 “우리는 걸릴 것이 없고 이번 사건에 연루될 만한 것은 없다"며 압박성 발언을 한 것으로 전해졌다.
군인권센터는 이 관리이 육군본부 감찰 인력 방문 후에도 한 회관병에게 "네가 나 찌른 것 아니야? 찌른 것 같은데?"라며 "인사과에 물어보면 누군지 다 안다"고 협박을 이어갔다고 주장했다. | | ▲군인권센터 임태훈 소장 (사진=연합뉴스) 군인권센터는 "지휘관, 참모의 휘하에서 군생활을 하고 있는 병사들을 상대로 부대 간부들이 침묵을 요구하고, 사전 교육을 실시한 상태에서 조사에 임하게 한다면 누가 솔직하게 상황을 진술하고 설문에 응답할 수 있겠느냐"고 비판했다. 임태훈 군인권센터 소장은 "전수조사는 육군에 맡겨둘 일이 아니다"라며 "국방부는 전 군 회관 운영을 중단하고 현역·전역자를 포함해 회관에서 발생한 부조리를 전수조사하라"고 당부했다.
한편, 지난달 26일 9사단 지휘부가 백마회관에서 16첩 반상 한정식 등 메뉴에 없는 음식을 받는 등 특혜를 누렸다는 폭로가 나왔다. 이후 군 회관에서 발생한 부조리 등 갑질 의혹이 여럿 제기됐고 군은 자체 조사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의지를 밝힌 바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