곽동수
kdstv2019@gmail.com | 2023-05-31 16:30:36
오세훈 서울시장은 31일 경계경보 위급 재난 문자 발령 논란과 관련해 "혼선을 빚어 송구하다"고 사과하면서도 "오발령은 아니었다고 판단한다"고 밝혔다.
오 시장은 이날 오후 시청에서 긴급 브리핑을 열어 "오늘 새벽 북한 우주발사체 관련 서울시 경계경보 문자로 많은 분께 혼란을 드려 죄송하다는 말씀을 드린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경위를 파악해보니 북한이 우주발사체를 발사한 급박한 상황에서 행정안전부의 경보 발령을 전파받은 서울시 소방재난본부 민방위경보통제소 담당자가 상황의 긴박성을 고려해 경계경보 문자를 발송했다"고 말했다.
오 시장은 "이번 긴급 문자는 현장 실무자의 과잉 대응이었을 수는 있지만 오발령은 아니었다고 판단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는 해프닝으로 넘어가기에는 너무나도 큰 혼란을 가져왔다는 점에서 제대로 짚어볼 필요가 있다는 것이 안전 전문가 들의 주장이다.
서울시는 오전 6시41분 '오늘 6시 32분 서울지역에 경계경보 발령. 국민 여러분께서는 대피할 준비를 하시고, 어린이와 노약자가 우선 대피할 수 있도록 해 주시기 바랍니다'라는 위급 재난 문자를 보냈다.
하지만 22분 뒤인 오전 7시 3분 행정안전부는 '06:41 서울특별시에서 발령한 경계경보는 오발령 사항임을 알려드림'이라는 내용의 위급 재난 문자를 보내 서울시의 경계경보 발령을 정정했다.
뒤이어 서울시가 오전 7시 25분 '북한 미사일 발사로 인해 위급 안내 문자가 발송되었습니다. 서울시 전지역 경계경보 해제되었음을 알려드립니다. 시민 여러분께서는 일상으로 복귀하시기 바랍니다'라는 안전안내 문자를 다시 발송했다.
이른 아침 출근을 준비하던 시민 들은 서울시와 행안부가 44분간 번갈아 보낸 '경계경보', '오발령', '경계경보 해제' 문자로 불안과 혼란을 겪어야 했다.
오 시장은 기자회견에서 "안전에는 타협이 있을 수 없고 과잉이다 싶은 정도로 대응하는 것이 원칙"이라고 언급했지만, 과연 이것이 적절한 대응인지, 정부 기관 간 불통이 아닌지 의심케 한다.
행안부 관계자는 "위급 재난 문자는 행안부와 지자체가 모두 발송할 수 있는데 이번에 서울시 전역에 전송된 문자는 서울시가 오발송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특히 "이 방송은 전국 17개 시도에 공통으로 보낸 거라 '자동 송출'의 개념이지, 서울시를 특정해서 보낸 건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저 지령 방송이 오해의 소지가 크다면 17개 시도 중 왜 서울시만 오해했겠냐"며 "문구를 제대로 읽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오 시장은 행안부와 대통령실이 서울시 책임이라고 지적한 데 대해선 "반박하기보다는 정확한 경위 파악이 먼저"라는 입장을 밝혔다.
오 시장은 "서울시는 시민 혼선을 막고 신속 정확한 안내를 위해 경보 체계, 안내 문구, 대피 방법 등에 대해 더욱 다듬고 정부와 협조해 발전시켜나가겠다"고 말하며 “총리실에서 행안부와 서울시 얘기를 들어서 무엇이 필요한 조치였는지를 판단해주면 그 판단에 따를 생각"이라고 밝혔다.
[ⓒ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