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원 기자
ljw777666@gmail.com | 2025-03-11 20:43:30
지난 2023년 9월 1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에서 자체감사를 요구한 지 18개월 만이다.
이번에 적발, 규명된 주요 내용들은 국토위 소속인 한 의원이 국정감사 등을 통해 꾸준히 제기했던 사안들이었다.
국토부는 11일 ‘서울∼양평 타당성조사 용역 관련 특정감사 처분 요구서’를 공개했다. 국토부 감사관은 공무원 7명에 대한 징계(5명)·주의(1명)·경고(1명) 처분을 권고했다.
감사 대상은 동해종합기술공사와 경동엔지니어링이 진행한 서울∼양평 고속도로 타당성조사 용역이다. 용역사는 2022년 3월 29일 타당성조사를 시작해 두 달 뒤 기존 양평군 양서면 종점 대신 강상면을 종점으로 하는 대안 노선을 제시했으며, 그해 11월 1차분 용역을 마쳤다.
앞서 정치권에서는 국토부가 예비타당성조사를 거쳐 나온 기존 양서면 종점을 타당성조사를 통해 강상면으로 변경한 데 대해 강상면 일대에 땅을 가진 김건희 여사 일가에게 특혜를 준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다.
감사 결과 국토부 도로정책과는 용역사로부터 과업수행계획서와 월간 진도 보고서를 기한 내 제출받아야 하는데도 제출 지시를 하지 않았다. 국회가 해당 자료 제출을 요구한 2023년 6월에야 용역사로부터 자료를 받았다.
규정에 따라 용역감독을 임명해 용역사가 과업 내용을 제대로 이행하고 있는지 확인해야 했으나 자체적으로 용역감독을 한 사실도 파악됐다. 또 국토부는 용역사가 1차 용역에서 이행해야 하는 경제적 타당성 분석, 종합 평가 등을 하지 않았는데도 용역 대금 18억6000만원을 지급했다. 국토부 감사관은 실시되지 않은 3억3400만원 상당의 용역 금액은 회수하라는 시정 명령도 내렸다.
이번 감사에서 국토부 담당자들이 국회에 제출한 서울∼양평고속도로 관련 자료를 고의로 4페이지 누락한 사실도 확인됐다. 2023년 7월 서울∼양평 고속도로 관련 논란이 본격화하자 국회에서는 자료 제출 요청이 이어졌고, 국토부는 모든 자료를 투명하게 공개하겠다며 홈페이지에 관련 파일들을 올렸다.
이에 "김건희 특검을 더이상 미룰 이유가 없어졌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날 한준호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자신의 SNS 를 통해 "이번 감사결과보고서의 핵심은 양평고속도로 건설사업에 얼마나 '빈틈'이 많았는가를 보여준다는 점"이라며 이 같이 밝혔다.
한 의원은 "국토부 담당공무원 4명과 한국도로공사 직원 1명에 대한 징계 조치가 결정됐고, 경동엔지니어링 등 용역업체로부터 3억 3천여 만 원을 회수하기로 했다"며 "늦었지만 타당한 귀결"이라고 했다.
그는 "특히 국토부가 계약에 따라 제출받게 돼 있는 월간진도보고서 등을 제출받지도 않는 등 용역관리를 부적정하게 수행하고, 우리 의원실에서 월간진도보고서 등 자료 제출을 요구받고 나서야 뒤늦게 용역업체로부터 서류를 제출받았다"며 "1차년도 용역 과업이 제대로 완수되지 않았는데 100% 준공을 내 주고 계약금액을 전부 지급한 게 모두 사실로 확인됐다"고 짚었다.
[ⓒ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