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현일 기자
hyunillee1016@gmail.com | 2024-06-05 08:00:51
▲ 대구·경북 통합 추진을 위한 4자 회동(사진=연합뉴스)
오는 2026년 7월 출범을 목표로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 통합이 본격 추진된다.
4일 열린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 통합 추진을 위한 4자 회동에서 통합 목표 시점을 2026년 7월 1일로 제시하고 범정부 지원에 나서기로 하면서 대구·경북 행정통합 작업이 탄력을 받게 됐다.
이날 회동에서 홍준표 대구시장과 이철우 경북도지사,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 우동기 대통령 직속 지방시대위원장 모두 대구·경북 통합에 크게 공감했다.
또 이번 대구·경북 통합이 수도권 일극 체제를 '다극 체제'로 전환하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는 데 뜻을 같이했다.
지난달 20일 홍준표 시장이 페이스북 게시글 등을 통해 대구·경북 통합 구상을 밝힌 지 불과 2주 만에 통합 작업이 본격적인 궤도에 오르게 됐다.
홍준표 시장과 이철우 도지사가 통합이라는 큰 그림에 이미 의견을 모은 데다, 미래지향적 행정구역 개편을 준비해온 정부가 전폭적인 지원 의사를 밝히면서 두 광역단체의 통합 작업이 초반부터 속도를 낸 것으로 분석된다.
대구시와 경북도 두 단체장은 통합의 기본 방향으로 두 광역단체의 '합의에 기초한 통합'을 준비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에 정부는 대구·경북 통합이 행정체제 개편의 선도사례가 될 수 있도록 통합의 직·간접적 비용 지원과 행·재정적 특례 부여 방안을 검토할 예정이다.
정부는 또 대구·경북의 합의안을 지원하기 위해 관계부처가 참여하는 ‘범정부 통합지원단’을 구성해 정부 차원의 ‘대구·경북 통합 지원방안’을 구체화할 계획이다.
이철우 도지사는 “지금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이 수도권 대 비수도권 변경 문제, 저출산 문제, 중앙권력에 지방권력의 종속 문제, 이런 것들을 한꺼번에 해결할 수 있는 게 결국 (대구)경북 행정통합”이라고 강조했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대구경북을 통합하자는 안은 대한민국 지방행정개혁의 신호탄이 될 수도 있다"면서 "대한민국은 100년 동안 3단계 행정체제로 이루어져 왔는데 이제는 2단계 행정체제로 전환을 할 때가 됐다”고 말했다.
올해 연말까지 대구·경북의 500만 시·도민이 공감하는 통합 방안을 마련하고, 시·도의회 의결을 통해 '대구·경북 통합 특별법' 제정을 추진하기로 하면서 통합 자치단체의 미래상도 연내 구체적으로 제시될 것으로 관측된다.
이날 처음 열린 4자 회동에서는 향후 대구·경북 행정통합 실무단에서 행정통합을 위한 합의안을 마련하는 대로 두 번째 간담회를 열어 추가 논의를 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
[ⓒ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