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원 기자
ljw777666@gmail.com | 2025-06-27 19:48:20
이재명 대통령이 27일 호국보훈의달을 맞아 취임 후 처음으로 청와대 영빈관에 국가유공자 및 보훈가족 등 160여 명을 초청해 오찬을 함께 했다.
이 자리에서 이 대통령은 "우리 국가 공동체의 존속, 그리고 국가 구성원들의 더 나은 삶과 안전, 생명을 위해서 희생하신 것에 대해선 국가 공동체 모두가 특별한 관심과 애정으로 상응하는 보상을 하고 예우해야 한다"며 "각별한 관심과 보상, 예우에 필요한 조치들을 해 나가려고 한다. 여러분께서 소외감이나 섭섭함을 느끼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며 정부의 보훈 기조를 강조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27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호국보훈의 달, 대통령의 초대' 오찬 행사에 6·25 참전 유공자, 5·18 유공자, 연평해전 유족 등 160여명을 초청했다.
참석자들은 전통의상을 입은 국군 의장대의 도열과 전통악대의 연주 속에서 최고 의전을 받으며 청와대 영빈관에 입장했고, 이 대통령은 김혜경 여사와 함께 참석자들을 영접하며 최고의 예우를 표했다.
오찬 후에는 6·25 참전유공자의 손녀인 한윤서 육군 소위가 유공자들에 대한 감사 편지를 낭독했으며 뮤지컬 배우 최재림과 성악병들이 참여하여 '독립군가', '전우야 잘자라' 등 보훈의 역사가 담긴 상징적인 노래들로 구성된 감사공연을 펼치는 것으로 행사를 마쳤다.
이날 이 대통령은 김혜경 여사와 함께 참석자들을 직접 영접하며 예우를 표했다.
행사장 연단에서 90도로 고개 숙여 인사하고, 1919년 진천 만세운동에 참여하던 중 순국한 고(故) 박도철 선생, 제2연평해전에서 전사한 고 서후원 중사, 천안함 피격 사건에서 전사한 고 이상희 하사, 연평도 포격전에서 전사한 고 서정우 하사 등 일부 참석자들을 직접 소개하기도 했다.
이 대통령은 "오늘 이 자리는 도전과 응전의 대한민국 현대사가 애국의 이름으로 한데 모인 뜻깊은 자리"라면서 "일제 치하 독립운동, 6·25 전쟁. 4·19 혁명. 월남전. 5·18 민주화 운동. 서해 수호 역사를 통해 오늘의 대한민국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현대사 고비마다 기꺼이 청춘을 바친 여러분. 그리고 여러분의 가족이 계셨기에 우리 국민들이 자유와 평화 속에서 미래를 꿈꾸면서 편안하게 살아가고 있다"고 감사를 표했다.
이 대통령은 "독립운동이든 참전이든, 국가 명령에 의해서 외국 전쟁의 희생양이 되든 우리 국가 공동체의 존속, 국가 구성원의 더 나은 삶과 안전, 생명을 위해 희생한 것에 대해서는 국가 공동체 모두가 특별한 관심과 애정으로 상승하는 보상을 하고 예우해야 우리가 선진 대한민국으로 인정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안타깝게도 우리 대한민국 현대사는 국가 구성원을 위해 모든 것을 바쳐 희생한 분에 대해 지나치게 소홀했다"라며 "독립운동하면 3대가 망하고, 친일하면 3대가 흥한다는 얘기가 들려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국가 공동체를 위해 특별한 희생을 치른 분에 대해 우리가 상응하는 특별한 보상과 예우를 해야 국가가 위기에 처했을 때, 우리 공동체가 위기에 처했을 때 또 다른 희생, 헌신을 하는 분들이 나타난다"면서 "각별한 관심과 보상, 예우에 필요한 조치를 해 나갈 것"이라고 약속했다.
한편 이날 오찬에 참석한 최원일 전 천안함 함장은 지난 2023년 이 대통령이 민주당 대표였던 시절 당 혁신위원장에 과거 '자폭된 천안함'이라는 발언을 한 바 있는 이래경 다른백년 명예이사장을 임명하자 이 대통령에 사과를 요구하는 등 마찰을 빚은 바 있다.
이에 대해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대통령실 행사는 사회에 어떤 방향성을 주느냐가 중요하다. 통합이라는 것은 '과거의 문제는 과거의 문제고, 앞으로 살아가는 데 있어 약간의 다름이 있어도 같은 방향을 보자는 것'이고, 이게 이재명 정부의 큰 방향성"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국가를 위한 안타까운 희생이 있었다면 충분한 보답과 사회적 예우가 있어야 한다는 게 이재명 정부의 계속된 철학"이라고 설명했다.
이날 오찬에 참석한 이종찬 광복회장은 이 대통령에게 '대통령실 보훈비서관'을 신설해달라는 건의를 했다.
이 광복회장은 이 대통령이 취임 일성으로 국민 통합을 언급한 점을 환기한 뒤 "갈등의 늪에서 나와 국민 통합의 다리를 건널 때 가장 확실하게 필요한 게 보훈"이라면서 "호국정신과 독립적인, 민주주의 정신을 실현하기 위한 보훈비서관 신설이 필요하다"는 요청을 했다고 전해진다.
이에 대해 대통령실은 검토 가능성을 열어뒀다.
[ⓒ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