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타파뉴스
sstpnews@gmail.com | 2024-12-23 19:02:00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이 24일 국무회의에 '쌍특검법'(내란 특검법·김건희 특검법)을 올리지 않을 방침이다. 헌법과 법률적 해석이 더 필요해 숙고하겠다는 입장이다.
더불어민주당이 전날 "24일까지 공포하지 않으면 탄핵"이라고 엄포를 놨지만 어림없다는 태도다. 민주당의 거센 압박과 한 권한대행의 요지부동에 탄핵 정국의 변수가 하나 더 늘었다.
한 권한대행은 23일 주요 경제단체장들과의 오찬에서 "현재 대행체제의 근본은 헌법과 법률을 충실히 지키는 것"이라고 기존 입장을 고수했다. 그는 총리 시절 김건희 특검법에 대해 윤석열 대통령에게 재의요구권(거부권) 행사를 건의한 전례가 있다.
총리실 고위관계자는 기자들과 만나 “내일(24일)은 (쌍특검법 상정이) 쉽지 않을 것 같다”며 “여러 가지 헌법적인 요소를 살펴봐야 되고 또 법률적인 요소도 살펴봐야 된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쌍특검법과 관련한 야당의 압박을 의식한 듯 “고차 방정식을 푸는 데는 조금 더 시간을 달라는 부탁의 말씀을 드린다”고 덧붙였다.
두 특검법의 거부권 행사 시한이 내년 1월 1일까지인 만큼, 한 권한대행은 올해 마지막 날인 31일 국무회의를 열고 최종 판단을 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한 권한대행이 결국 김건희 특검법에 대해 거부권을 행사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한 권한대행은 지난달 26일 국무회의에서 김건희 특검법에 대해 “위헌성이 조금도 해소되지 않은 법안”이라고 지적했다. 특검 후보자 추천권을 야당이 독점하게 되는 법안 내용에 대해 한 권한대행이 입장을 번복하기는 쉽지 않은 상태다.
한 권한대행은 이날 서울 삼청동 총리공관에서 경제6단체장과 간담회에서 헌법과 법률을 강조하며 “(대한민국이) 법치주의 그리고 민주주의에 강한 나라로 분명히 다시 각인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