곽동수
kdstv2019@gmail.com | 2024-06-19 18:55:04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방북길에 오른 것과 관련, 우리 정부는 최근 북한이 탄도미사일, 오물 풍선 살포 및 위성항법장치(GPS) 전파 교란 등 일련의 도발로 한반도 긴장을 고조시키는 가운데 푸틴 대통령의 방북이 이루어지는 데 깊은 우려를 표명했다.
중국 외교부는 이례적으로 한국 외교부 보도자료(19일 0시 20분께 공개)보다 16시간가량 늦은 이날 오후 발표에서 전날 한국 측에 "조러(러북)는 우호적 이웃으로 교류·협력과 관계 발전을 위한 정상적 필요가 있고, 관련 고위급 왕래는 두 주권 국가의 양자 일정(安排)"이라는 입장을 밝혔다고 설명했다. 19일 외교부에 따르면 김홍균 제1차관과 중국의 쑨웨이둥(孫衛東) 외교부 부부장(차관)은 전날 개최한 '한중 외교안보대화'에서 양자관계, 한반도 문제, 지역 및 국제정세 등 상호 관심사를 논의했다.
한중 외교안보대화는 양국 외교부·국방부가 참여하는 '2+2' 대화 협의체다. 중국은 한반도 문제에 대해서는 "중국은 줄곧 사안 자체의 시비곡직(是非曲直·옳고 그름)에 근거해 자기 입장을 결정하고, 스스로의 방식으로 계속해서 반도 사무에서 건설적 역할을 해나갈 것"이라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이와 함께 '1.5트랙 대화', '외교차관 전략대화' 등 합의된 다양한 교류·실질협력 사업을 착실히 이행해 나가기로 했다.
이날 협의에서 김 차관은 대화의 상당 부분을 북한 문제 및 러북 관계에 할애해 강한 어조로 입장을 표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북러 밀착을 불편하게 여겨온 중국의 속내가 한국 측과의 협의 과정에서 드러난 것이 아니냐는 분석이 나왔다. |
[ⓒ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