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원 기자
ljw777666@gmail.com | 2024-12-04 18:25:01
더불어민주당 박선원 의원은 “ 불법적인 12.3 친위쿠데타와 관련, 참여했던 장병들로부터 추가 제보가 접수되고 있다 ” 며 당시 707 특임단 대원들이 처했던 상황과 임무 등을 추가로 공개했다 .
박 의원에 따르면, 계엄군으로 출동했던 707 특임단은 출동 당일 20:00 경 하달 된 문자메시지를 보고 ‘북한 관련 사안으로 출동하는 것’ 으로 알고 있었다고 한다 . 그런데 헬기가 국회에 착륙했고, 헬기에서 내린 707 대원들은 구체적인 임무를 하달받지 못한 채 순간 어리둥절하여 신속하게 움직이지 못했다.
실제로 당시 사진자료를 보면 헬기가 국회 경내에 착륙한 것은 12 월 3 일 24:00 무렵이었으나, 707 대원들이 국회 본청으로 진입한 것은 그로부터 40~50 분이 지난 다음날 00:45 경이었다.
박선원 의원에 따르면 현장에서 707 대원들에게 부여된 임무는 “막아 ” 였으며, 실제 요인 체포는 군사경찰 등 계엄 상황에서 민간인을 체포 연행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 별도 팀이 할 것이라고 하였다 한다.
이에 대해 박 의원은 “정권 유지에 눈이 먼 집권 세력의 불법적인 계엄 선포로 애꿎은 장병들만 고생하고 합당한 보상도 못 받는 것 ” 이라면서, “ 윤 정권이야말로 군을 괴롭히는 반 국가 세력 ” 이라고 비판했다.
앞서 3일 국회 본청 진입을 시도한 계엄군은 육군특수전사령부(특전사) 예하 제707특수임무단(707특임단)과 제1공수특전여단(1공수여단) 소속 병력으로 알려졌다. 수도방위사령부의 군사경찰특임대(SDT)도 합류했으며, 국방부는 이들의 빠른 이동을 위해 특전사 직할 부대인 특수작전항공단의 군용 헬기(UH-60P 블랙호크)도 동원했다.
박 의원은 4일 복장과 SCAR-L 돌격소총 등 화기를 통해 당시 국회에 투입된 계엄군의 소속을 707특임단, 1공수여단, 특수작전항공단, SDT 등 4개 부대로 특정했다. 박 의원은 문재인 정부에서 국가정보원 제1차장을 지냈다.
특전사 예하 제3공수특전여단(3공수여단)은 전시 계엄지휘소로 예정된 경기 과천 B-1 벙커로 출동했다. 육군 내 최정예부대로 꼽히며 유사시 북한 지휘부 제거를 주 임무로 해 '참수부대'로 불리는 특전사 예하 13특임여단은 작전대기에 들어갔던 것으로 전해진다.
이들 부대는 곽종근 특전사령관과 이진우 수방사령관 지휘를 받는다. 이들은 모두 육군사관학교 출신 선후배로, 김용현 국방부 장관이 지난해 3월 한남동 공관에서 회동한 '공관 회동' 멤버로 지목되면서 논란에 선 인물들이다. 야당은 이 자리에서 계엄 준비 등을 논의했을 것으로 주장했지만, 김 장관은 "정치 선동"이라고 부인한 바 있다.
[ⓒ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