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수의 심장 TK도 시국선언 줄이어..."윤석열을 해고한다"

안동대 교수 33인, 대구대 54인 "尹대통령 즉각 퇴진" 시국선언 동참
민주주의를 요구하는 경북대학교 교수·연구자 185명 서명
충북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즉각퇴진 촉구 기자회견

이종원 기자

ljw777666@gmail.com | 2024-11-18 18:24:24

▲ 안동대 시국선언문 전문

 

윤석열 대통령의 퇴진을 요구하는 전국 대학교수들의 시국선언이 이어지는 가운데 보수의 심장이라고 할 수 있는 TK 지역에 위치한 국립안동대학교 교수들도 시국선언문을 발표했다.

이들은 18일 시국선언문을 통해 “인내심이 한계에 이르렀다. 윤 대통령은 퇴진하라”고 요구했다.

국립안동대학교 교수 33명은 “세계에서 가장 빠른 민주화를 이루며 선진국 반열에 오른 오늘의 대한민국이 있기까지, 지난 70년간 수많은 민주열사의 희생과 광장에 나선 국민의 촛불혁명을 통해 어렵게 이루어 낸 민주주의가 불과 2년 만에 순식간에 침몰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윤 대통령이 퇴진해야 하는 이유로 불필요한 남북 관계의 긴장 고조에 따른 전쟁 위기 조장, 대일 굴종외교 및 외교참사, 의료대란, 그리고 민생파탄을 거론했다.

“대통령 부인으로 내조만 하겠다던 김건희 여사가 권력을 이용해 국정을 농단하는 작금의 사태를 지켜보기에는 인내의 한계점에 도달하였다”고도 덧붙였다.

시국선언 참여 교수 일동은 "무너져가는 대한민국 헌정질서를 회복하고 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해 국정농단의 주역인 김건희 여사에 대한 조건없는 특검 실시와 전쟁 위기 조장, 굴종 외교, 민생파탄의 책임자인 윤석열 대통령의 즉각 퇴진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했다.

 

▲ 경북대에 걸린 학생들의 윤석열 대통령 퇴진 촉구 대자보 (출처=윤석열퇴진대학생운동본부 경북대지부)

 

한편 민주주의를 요구하는 경북대학교 교수·연구자는 19일 경북대 북문 앞에서 ‘민주주의를 요구하는 시국선언 발표 및 회견’을 연다. 18일 오전 10시 기준으로 185명이 서명에 참여했다.

이들은 윤 대통령이 정부에서 발생한 모든 문제의 근원이자 중심인 만큼 퇴근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구체적인 이유로 인사 문제에 있어 특정 집단에 편중되고 비선 실세 개입 의혹, 구시대 인물의 재기용 등을 문제점으로 지적했다. 이념적인 편향성과 노골적인 대결·적대 의식, 잘못된 판단을 굽히지 않으려는 옹고집 성향 등을 드러냈다고 꼬집었다.

경제적으로 IMF 위기나 코로나19 때보다 지금이 더 힘들다고 평가했다. 그럼에도 부자 감세에 따른 세수 부족으로 국가·지방 재정도 모두 수렁에 빠졌다고 날을 세웠다.

연구개발·보건·복지·노동 등 기간 분야 예산은 축소되고 최고위 관료는 공적 자금을 끌어 쓸 생각만 한다고 비판했다. 대통령의 철학과 궁리에 따른 일들이며 문제를 더욱 악화시키고 있다고 직격탄을 날렸다.

또한 대통령이 비판자들의 입을 막아 국가 모든 영역에서 대화 장애를 일으키고 있다고 강조했다. 비판자를 반국가 세력으로 몰고 독립 영웅을 상대로 역사 전쟁을 선동한 점을 근거로 들었다. 내정과 외교를 불문하고 무의미한 긴장을 조성, 한국 사회를 말의 파탄 상태로 몰아갔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유사한 문제가 반복되는 현 상황은 모두 윤 대통령의 책임”이라며 “국민의 뜻을 외면하는 대통령은 자리에서 물러나야 한다”고 밝혔다. 또 “물러나지도 않는다면 끌어내릴 것이며 윤 대통령은 해고”라고 덧붙였다. 

 

▲ 경북대 캠퍼스 곳곳에 붙은 정권 비판 대자보 (출처=윤석열퇴진대학생운동본부 경북대지부)

 

앞서 지난 15일 대구대 교수와 연구자 54명은 ‘윤석열 정권의 국정 파탄, 우리는 분노한다’는 시국선언을 발표했다. 민주주의와 정의의 가치를 수호하기 위해 윤 대통령의 퇴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부자감세, 한반도 군사적 긴장 고조, 교육 공공성 퇴보, 채 상병 특검 논란, 김건희 국정농단, 이태원 참사 책임 등 윤 정부의 각종 실정을 조목조목 언급했다. 특히 부자감세가 재정문제와 긴축예산으로 이어져 교육예산이 감축되고 사립학교법 시행령 개정으로 비리 전력이 있는 이사 추천 제한이 완화되는 등 교육의 공공성마저 무너뜨렸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 9일 국립부경대 캠퍼스에 투입된 경찰 (유튜브 캡처)▲캠퍼스에서 연행되는 학생 (유튜브 캡처)

 

지난 9일 부경대학교 교내에 진입, 학생들을 폭력적인 진압한 점을 상기시키며 헌법이 보장하는 집회와 시위의 자유라는 기본권을 침해했다고 직격탄을 날렸다.

[ⓒ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