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타파뉴스
sstpnews@gmail.com | 2024-12-27 19:12:05
박근혜 정부 탄핵 정국에 휩쓸려 고초를 겪었던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윤석열 정부에서 대통령·국무총리의 권한대행이라는 사상 초유의 역할을 맡게 됐다.
국가 경제 비상 상황에서 윤 대통령의 탄핵 길목으로 향하는 헌법재판관 임명권한까지 최상목 부총리의 몫이 됐다.
최 부총리는 1963년생 서울 출신으로, 오산고와 서울대 법학과를 졸업하고 행정고시 29회로 공직에 입문했다.
노무현 정부 때 재정경제부 증권제도과장·금융정책과장, 이명박 정부 때 기재부 미래전략정책관·정책조정국장·경제정책국장 등 핵심 요직을 거쳤다.
금융과 거시정책 분야에서 주요 보직을 모두 경험한 드문 이력과 깔끔한 일 처리로 '미래의 경제부총리감'이라는 평가가 따라다녔다.
하지만 박근혜 정부 시절 국정농단 사건으로 기소됐던 안종범 전 청와대 경제수석 밑에서 경제금융비서관으로 일한 경력이 꼬리표가 되었다.
최 부총리는 기소는 피했지만 결국 박 전 대통령이 탄핵당한 후 문재인 정부가 들어선 2017년 5월 기재부 1차관을 마지막으로 공직을 떠났다.
그러다가 2022년 윤석열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서 경제1분과 간사로 발탁며 화려한 복귀에 성공했다.
그는 대통령실 경제수석을 거쳐 지난해 12월에는 불명예스럽게 떠났던 기재부의 수장으로 6년 만에 금의환향했다.
이후 경제부총리로서 단기적인 경기·민생대책 초점에서 벗어나 중장기 경제비전인 '역동경제 로드맵'을 발표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펼쳤다.
하지만 '12·3 비상계엄 사태' 때 그는 비상계엄을 선포하기 위한 긴급 국무회의에서 윤석열의 결정에 반대하고 자리를 박차고 나왔다고 밝혔다.
그 직후에는 긴급 거시경제·금융현안 간담회'(일명 F4 회의)를 소집하는 등 계엄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고자 안간힘을 썼다고 말했다.
야당이 긴급 국무회의에서 최 부총리가 받은 쪽지에 계엄군을 지원하기 위한 목적의 예비비를 편성하라는 지시가 담겼다고 공세를 펼쳤기도 했으나, 그는 쪽지 내용을 모른다고 해명하며 넘어갔다.
최 부총리의 탄핵 정국 경험은 이번이 세번째다. 처음은 2004년 노무현 전 대통령 탄핵 국면에서 증권제도과장으로 근무했을 때다.
관가에서는 "관운이 탄핵과 기구하게 얽혔다"는 말까지 나왔다.
이번에는 윤석열에 이어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의 탄핵안까지 27일 국회에서 가결되며 '대행의 대행'이라는 부담스러운 자리를 떠안게 됐다.
게다가 계엄·탄핵 정국으로 위기에 빠진 경제를 살리는 일에 더해서 정치적 결단까지 내려야 하는 상황에 내몰린 것이다.
최 부총리는 이날 오후 일부 기자들을 만나 "권한대행의 권한대행은 역할이 매우 제한적이라고 많은 분이 말씀하고 계신다"고 말했다. 대통령직에 준하는 적극적인 권한 행사를 하기는 어려운 처지라는 의미로 해석된다.
[ⓒ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