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원 기자
ljw777666@gmail.com | 2025-02-24 18:07:22
다만 사유서를 내지 않았다고 출석을 단정할 수는 없는 상황이다. 사유서 제출 없이 불출석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국조특위는 김성훈 경호처 차장과 이광우 본부장에 대한 출석도 요구했지만 이들은 불출석 사유서를 제출했다.
김 차장이 지난해 12월7일 비화폰을 관리하는 직원에게 단말기 정보 삭제를 요구했지만 실무자들은 증거인멸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며 삭제는 이뤄지지 않았다. 경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단 관계자는 “통신 내역의 보존 기한은 알 수 없으나 삭제는 되지 않았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김 차장의 증언에 따르면 비화폰 서버는 이틀 간격으로 과거 기록이 자동 삭제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서버 확보가 시급한 상황이다. 경호처가 지급하는 비화폰은 윤석열과 경호처 직원들을 비롯해 김건희 여사,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 김용현 전 국방부장관 등이 사용했기 때문에 그 통화내역은 비상계엄 사태를 규명할 핵심 증거로 꼽힌다.
다만 서버 확보에는 난항을 겪고 있다. 경찰은 지난 3일 경호처 사무실에 대한 압수수색을 시도했지만 경호처의 반발로 8시간 대치 끝에 소득 없이 발걸음을 돌려야 했다. 이를 막고 있는 김 차장과 이 본부장에 대한 경찰의 구속영장 신청도 검찰에 번번이 막혔다. 검찰은 지난달 18일과 24일에 이어 지난 18일에도 김 차장에 대한 구속영장 신청을 기각했다.
[ⓒ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